Page 162 - 고경 - 2023년 9월호 Vol. 125
P. 162

사상적으로  통일시
                                                      키고 불교 대중화에
                                                      앞장선 위대한 사상

                                                      가”라고 높이 평가한

                                                      바 있다.
                                                        한편 그는 1983년
                                                      에 김시습의 『대화엄

                                                      일승법계도주병서』

          사진 5.  『균여대사화  사진 6. 김시습金時習(1435~1493).     를 번역하고 주석을
              엄학전서』(상
              하권), 대한전                                붙였다. 이는 생육신
              통불교연구
              원(1977).  으로 유명한 김시습의 불교 저작에 대한 첫 역주서이자 철
                       학적 해석을 가미한 연구서라고도 할 수 있다. 조명기가 소

          장하던 김시습의 『화엄석제』와 조선 후기의 승려 도봉유문이 의상의 『화엄일
          승법계도』에 주해를 단 『법성게과주』도 이 책에 함께 실었다. 부록에 있는 김
          시습 전기의 해설, 화엄과 선의 관계에 대한 김지견의 글은 의상계 화엄 사

          상의 특징을 성기性起에서 찾으려는 첫 시도로써 의미를 가진다.

           김지견은 『법계도기총수록』에 실린 의상의 『일승법계도합시일인』을 저
          본으로 하여 역주 작업을 진행했는데, 기존의 <대정신수대장경> 수록본보
          다 『총수록』본을 선본으로 판정하고 원제목도 「일승법계도합시일인」이라

          고 보았다. 1993년 대한전통불교연구원에서 『화엄일승법계도기』로 이를

          출간하면서 한·중·일의 관련 주석을 참고 자료로 함께 넣었다. 여기서
          도 기존 번역에 대한 오류를 지적하는 한편 <신수대장경본>과 교감한 대
          조표를 붙여서 문헌학적 엄밀성을 갖춘 연구 성과로 평가되고 있다.

           김지견은 석사학위를 육조 혜능으로 썼고 출가 경험을 통해 선에 대한



          160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