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2 - 고경 - 2023년 10월호 Vol. 126
P. 22

② “불성은 제일의공第一義空 이라 이름하며 제일의공은 지혜라 이
                                    5)
              름하느니라.”                                                       - 『대반열반경』



              ③ “12인연을 불성이라 부르나니 불성은 즉시 제일의공이요 제일

              의공은 중도라 하며 중도는 불타니 불타는 열반이라 하느니라.”
                                                          - 『대반열반경』



              ④ “자성이 무량무변한 일체의 공덕을 원만 구비하였느니라. 자성

              이 법法·보報·화化의 삼신三身 을 구비하여서 발명發明 하여 사
                                                            7)
                                        6)
                                          9)
                                                    10)
                   8)
              지四智 가 되나니, 견문의 반연攀緣 을 이거離去 하지 않고 초연히
                              11)
              불지佛地에 등입登入 하느니라.”                         - 『기신론』·『단경』
           자성 속에는 불교에서 목표로 삼고 추구하는 궁극의 경지인 3신身과 4
          지智가 빠짐없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자성만 확실히 보면 곧 구경을 성
          취하는 것이다. 그러면 그 자성은 어디에 있을까? 흔히들 보고 듣고 느끼

          고 아는 등의 일상적인 작용을 떠나 자성이 따로 있을 것으로 생각하는데

          그것이 아니다. 보고 듣고 느끼고 아는 이것이 불성이다. 이것이 자성이고
          3신과 4지를 원만히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육조스님의 논지는 보


          5) 가장 깊은 의미의 공.
          6)  법신은 진리 그 자체로서의 불신佛身, 보신은 원을 세우고 수행한 결과로서의 불신, 화신은 중생을 구
           제하려고 세상에 다양한 모습으로 화현한 불신.
          7) 이치를 스스로 깨달아서 밝힘.
          8)  여래가 지닌 지혜로서 중생이 지니고 있는 8식을 바꾸어 얻는다. 이것을 전식득지轉識得智라고 한다. 전
           5식은 성소작지成所作智로, 제6식은 묘관찰지妙觀察智로, 제7식은 평등성지平等性智로, 마지막 제8식은 대
           원경지大圓鏡智로 바꾼다.
          9)  산스크리트 ‘ālambana’의 번역어로서 마음이 대상을 의지해서 작용을 일으키는 것을 말함.
          10)  멀리 떠나감.
          11)  올라 들어감.


          20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