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0 - 고경 - 2023년 11월호 Vol. 127
P. 150

서도 획기적인 아함 이해에는 그가 직접 체험한 구도의 과정이 그대로 녹
          아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런 한편 고익진은 한국불교 사상사의 정립에 일생을 걸었다. 그는 사

          상에 대해 시대의 과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려는 관념체계로 정의하고, 당

          시 사상가들의 해결 노력을 찾으면서 역사적 연구방식을 추구하고자 했
          다. 먼저 『한국의 불교사상』은 한국불교가 걸어온 사유의 여정을 따라가는
          데 길라잡이가 되는 책이라 할 수 있다. 1부 한국불교의 정신사적 해석, 2

          부 일연의 역사의식과 단군신화, 3부 한국 불교철학의 원류와 전개, 4부

          불교 윤리와 한국 사회로 구성되었다. 1부는 정신사관의 정의, 불교 전래
          부터 조선 후기 태고법통의 등장과 계승 등을 내용으로 하며, 2부는 동명
          왕편, 일연의 『삼국유사』를 통한 단군신화 이해, 도덕 사관 등을 다루었다.

          3부는 대승반야경의 공 개념, 승랑의 중관적 공관, 원측의 유식적 공관, 원

          효의 화엄적 공관, 지눌의 선적 공관 등 한국불교 철학사의 주요 사상을 정
          리했다. 4부는 불교의 윤리적 교설, 한국사회에 정착된 불교 윤리, 불교 윤
          리의 현대적 의의로 나누어 불교 윤리가 한국에 미친 영향에 대해 살펴보

          았다.

           박사학위 논문을 기반으로 한 『한국 고대 불교사상사』는 삼국에서 통일
          신라까지 전개된 다양한 불교사상의 경향과 특징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연
          구서이다. 1장 서론에 이어 2장 삼국의 불교 전래와 정착에서는 불교 전래

          이전의 무속신앙, 불교의 전래와 국가적 전개, 무속의 포섭과 불교화 등을

          다루었다. 3장은 대승 교학을 주제로 고구려 승랑의 삼론학과 삼국의 교
          학 사조, 신라 원측의 유식학을 심도 있게 다루었다. 4장은 통일신라의 화
          엄사상을 개관하면서, 원효의 기신론 철학과 화엄경관, 중국 화엄과 원효

          와의 비교, 의상의 실천적 화엄과 의상 화엄학의 영향, 정토신앙의 화엄적



          148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