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2 - 고경 - 2023년 12월호 Vol. 128
P. 32

그 자체다. 만약 참선하는 현장에 책과 지식을 끌어들인다면 그것은 겨우
          덜어낸 언어와 생각을 다시 쌓는 일이 된다. 그래서 성철스님은 화두를 받
          아 참선하는 수행자들에게 자상하고 친절한 법문을 베풀었지만, 책을 보

          고 화두를 정한 수행자에 대해서는 거의 적대적일 정도로 냉랭했다. 그것

          이 실참실수로 나아갈 가능성이 희박하기 때문이라는 이유에서였다. 그 사
          정이 『성철스님 화두참선법』에 실린 수행자들과의 대화에 잘 나타나 있다.
          여기에서 성철스님은 책보고 화두하는 위험성을 들어 여러 방면으로 꾸짖

          은 뒤 결론격으로 이렇게 말한다.



              “네가 책을 보고 했든지 사람에게 배웠든지 그런 건 안 묻는다 했

              잖아. 사람에게 배우는 게 좋은데 그건 그만두고, 네가 지금 무無
              자를 한다 하니, 내가 한번 물어 보고 싶은 건 조주가 어째서 무라

              했는지, 그걸 한번 대답해 보라 이 말이야. 알겠어?…그건 네가 분
              명히 모르지? 알겠다는 생각이 들어? 그걸 분명히 모르니, 모르면
              알아야 될 게 아니겠어? 그러니 ‘조주가 어째서 무라 했는가? 어째

              서 무라 했는가?’ 그것만 계속 하란 말이야. 그럼 대강 알겠어?”



           “조주가 어째서 무라 했는가?” 그것은 생각으로 알 수 없다. 책을 봐도
          알 수 없다. 혹시 안다 해도 그것은 추측이고 억지해석이지 조주의 마음을

          환하게 본 자리가 아니다. 그러니 스스로 완전히 깨질 때까지, 그리하여 스

          쳐 지나가던 만사만물이 모두 입을 열어 불법을 설하는 깨달음이 올 때까
          지 화두만을 계속 생각해야 한다는 것이다. 성철스님이 간화선의 실참실
          오를 주장하면서 거듭 전하고자 하는 소식이 이것이다. 그것은 알고 모르

          고의 문제가 아니라 죽어서 다시 살아나는가 하는 문제이다.



          30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