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9 - 고경 - 2024년 1월호 Vol. 129
P. 159

의 전개 과정에 대하여 아홉 시기로 나누어 연재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살
             펴보면 ‘①남종선 전래 이전의 선, ②남종선의 전래와 나말여초 구산선문
             의 형성, ③고려 전기 선사상, ④보조 지눌의 선사상, ⑤수선사 16국사, ⑥

             여말 선초의 선사상, ⑦조선 중기 선사상, ⑧조선 후기 이종선-삼종선 논

             쟁, ⑨근 현대 선사상’ 등이 그것이다.
               한국선의 전개 과정을 이와 같이 구분하고서 각 시기 선사상의 특징이
             무엇인지를 밝히고, 전후 시기 사상사적 연관성을 설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한국 선사상의 흐름과 이를 관통하는 성격과 특징이 무엇인지를 드

             러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매 시기 한국불교가 처한 상황은 무엇이
             며, 그 속에서 선종 혹은 선사들에게 주어진 시대적 과제가 무엇인지를 살
             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각 시기 중국으로부터 선을 수용하는 과정과 그 사

             상적 특징이 무엇인지를 설명하고, 이를 수용한 주체들이 어떠한 활동을

             통하여 한국선에 적용하였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그동안 한국선에 대한 담론은 인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이는 일차
             적으로 선과 관련한 자료가 빈약한 데에 기인하지만 선사상에 대한 이해

             가 부족한 것이 근본적인 요인이라 할 수 있다. 이번 연재에 있어서는 매

             시기 선사상을 대표하는 저술의 내용과 간행된 선서들의 현황 및 그 사상
             적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또 하나 중요한 점은 선사상과 기타 사상의 융합이다. 이는 선교禪敎 융

             합, 선정禪淨 융합, 선율禪律 융합, 선밀禪密 융합 등 불교 내적인 융합과 유

             불儒佛 융합 그리고 유불도儒佛道 삼교 융합 등 불교 외적인 융합 등이 있
             다. 특히 억불 상황에 처한 조선시대의 선사상을 논함에 있어서는 유교의
             사상이 선사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고, 또 선사들과 유학자들 간의

             교유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보아야 한다.



                                                                         157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