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3 - 고경 - 2024년 5월호 Vol. 133
P. 133

『   』 제133호 | 거연심우소요 居然尋牛逍遙 43 |    고운사도 여러 잡역을 부담하였는
                등운산 고운사 ②
                                             데, 특히 종이를 만들어 공납한 일이
                                             눈에 띈다. 어람지御覽紙, 동지사장

                                             후지冬至使壯厚紙,  팔대가책지八大家
             고운사의 전각과                        冊紙, 성균관삭지成均館朔紙, 장지壯紙

             가람배치                            등 최고급의 종이를 만들어 공납하

                                             기도 했다. 이러한 것은 저상지楮上
                                             紙인데, 이런 고품질의 종이를 만들
             정종섭
                                             어 공납할 정도였으면 보통 수준의
                                             종이도 만들었다고 생각된다.
                                               1802년에  경상감영에서  종이  값

                                             으로 고운사에 지불한 금액이 128냥

                                             인 것을 보면, 관청에서 공짜로 공납
                                             을 받은 것은 아니어서 종이를 만드
                                             는 일은 사찰 재정에 도움이 되기도

                                             했다. 품질 좋은 종이를 제조하였으

                                             니 자연 선비들의 문집을 간행하는
                                             일도 맡게 되었을 것이고, 문집을 인
                                             출하는 한지도 공급했을 것으로 짐

                                             작된다.

                                               1918년의  「등운산고운사사적비」
                                             를 보면, 당시에 고운사는 사세가 번
               정종섭   서울대 법과대학 졸업. 전 서울
               대 법과대학 학장, 전 행정자치부 장관,        창하여 전각이 모두 366칸에 이르렀
               현재 한국국학진흥원 원장. 『헌법학 원
               론』 등 논저 다수.                   고,  고운사에  출가한  강유문姜裕文



                                                                         131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