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70 - 선림고경총서 - 36 - 벽암록(중)
P. 270
270
-상대방이 할 말을 가로챘군.
“나는 사양치 않고 그대에게 말해 주고 싶지만 훗날 나의 자손
을 잃을까 염려스럽다.”
-노파심이 간절하기도 하다.낯가죽이 두껍기가 세 치나 되겠다.이러
쿵저러쿵했구나.다 털려서 벌거숭이가 됐다.
평창
위산․오봉․운암스님이 함께 백장스님을 모시고 서 있자,
백장스님이 위산스님에게 물었다.
“목구멍과 입을 닫아 버리고,어떻게 말할 수 있을까?”
“ 스님께서 말씀해 보시지요.”
“ 나는 사양치 않고 그대에게 말해 주고 싶지만 훗날 나의 자
손을 잃을까 염려스럽다.”
백장스님이 이처럼 말하기는 하였지만 (매일 사용하던)밥그
릇을 남에게 빼앗겨 버린 격이다.
백장스님이 다시 오봉스님에게 묻자,오봉스님은 말하였다.
“화상께서도 (목구멍과 입을)닫아 버려야 합니다.”
“ 사람이 없는 곳에서 이마에 손을 얹고 멀리 있는 그대를 바
라보겠노라.”
또다시 운암스님에게 묻자,운암스님은 말하였다.
“스님은 할 수 있는지요?”
“ 나의 자손을 잃었구나.”
세 사람은 각기 일가(一家)를 이룬 자들이었다.옛 어른(운문
스님)의 말에 “평지에 죽은 사람이 무수하다.가시덤불을 지나
가는 자라야 좋은 솜씨이다”라고 하셨다.그러므로 종사(宗師)
들은 가시덤불로 사람을 시험하였던 것이다.왜냐하면 상정(常
情)의 언구(言句)로써는 사람을 시험할 수 없기 때문이다.납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