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8 - 정독 선문정로
P. 88

않다. 오히려 양자는 상호 간에 서로의 개념화를 차단하는 기능을 한

            다. 또한 그것은 서로를 포함하는 체용불이적 관계에 있다. 성철스님이
            불성과 같은 뜻을 갖는 동의어들을 나열하는 것으로 불성을 설한 것도

            이 때문이다.
               물론 성철스님은 불성론의 우월성을 강조하는 입장이다. 성철스님은

            대승불교의 선승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불성론이야말로 “불교의 생명이
                                                                 37
            며 모든 종교가 추수追隨할 수 없는 가장 탁출卓出한 특색” 임을 강조
            한다. 같은 차원에서 기독교의 하나님은 모든 것을 초월해 저 멀리 계
            시는 분이지만, 불교의 불성론은 “하나님의 지고지순한 가치를 바로 이

                                                         38
            죄인이 전혀 부족함 없이 완전히 구비하고 있다.” 라고 강조하면서 이
            것이 불교의 우수성이라 규정한다.






               2. 성철스님 중생불성 설법의 특징





               성철스님의 선사로서의 정체성은 제1장 견성즉불론에 남김없이 드러

            나 있다. 이후의 모든 설법은 견성즉불론에 대해 덧붙이는 부가적 설명
            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견성즉불론의 핵심은 돈오견성이 부처님의

            원각과 같은 것이라는 돈오원각론의 피력에 있다. 그렇다면 견성의 내
            용인 진여본성이 무엇인가를 설명해야 한다. 제2장에서는 진여본성이

            바로 불성임을 설한다.




             37   퇴옹성철(2015), p.53.
             38   퇴옹성철(2015), p.54.



            88 · 정독精讀 선문정로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