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18 - 정독 선문정로
P. 918

2. 성철스님 소멸불종 설법의 특징





               성철스님은 부처의 씨앗을 소멸시키는 일천제의 죄업 중 대망어죄를
            강조하여 보여준다. 진정한 깨달음이 아닌 것을 깨달음이라 하는 대망

            어에 대한 비판이 성철선의 한 핵심이기 때문이다. 왜 대망어가 행해지
            는가? 세상의 존경을 바라는 명예욕이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 성철스님

            의 진단이다. 명예와 이익을 추구하는 마음이 바로 부처의 씨앗을 죽이
            는 독이라는 것이다.

               왜 대망어가 문제가 되는가? 분별적 지해의 내려놓음이 깨달음으로
            가는 길인데, 대망어를 하는 순간 지해에 의지하는 길을 걷게 되기 때

            문이다. 지해의 길이므로 경전의 말씀에 매달리고 개념에 의지하게 된
            다. 깨달음의 길을 걷는 데 써야 할 에너지를 개념의 건축물을 구축하

            는 일에 쏟게 되는 것이다. 이것은 또한 증상만의 일이기도 하다. 『법화
            경』을 설하던 영산회상에서 5천의 증상만이 이탈했을 때 부처님은 오

            히려 순수한 씨앗만 남았다고 기뻐한 일이 있다. 증상만은 자기의 견해
            를 내려놓지 못하는 수행자들로서 깨달음의 씨앗이 소멸한 이들이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를 들어 성철스님은 대망어를 지해의 증장으로 인한 장

            애와 연결한다. 실참실오 없이 경전에 기대고, 스승의 말에 기대고, 관
            념에 기대고, 자기의 견해에 기대는 일이 대망어의 원인이 된다는 것이

            다. 그래서 소멸불종에 대한 법문은 바로 지해의 비판과 실참실오의 강
            조로 귀결된다. 지해가 남아 있는 불완전한 무심에 기댄다면 그것이 곧

            부처의 씨앗을 소멸시키는 일이 된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소멸불종의
            설법에는 돈오점수에 대한 비판이 행간에 담기게 된다.




            918 · 정독精讀 선문정로
   913   914   915   916   917   918   919   920   921   922   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