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99 - 퇴옹학보 제17집
P. 199

왕양명(王陽明)과 퇴옹(退翁)의 심성론·수행론 비교  • 199




               로 하여 ‘학적 체계’를 갖추기에 양명의 학문을 ‘양명학’이라 하고, 퇴옹

               의 학문을 ‘퇴옹학’이라 부를 수 있을 것이다.



                 (2) ‘임→됨’, ‘수(修)→오(悟)’의 방법론 : 돈(頓)

                 돈오돈수의 ‘돈’은 보통 ‘몰록, 문득, 단박에’라고 읽는데, ‘돈’ 개념에
               는 베르나르 포르(Bernard Faure)는 신속(fast), 절대(absolute), 무소의(無

               所依) 또는 무매개(im-imediate)라는 다중적 의미가 있다고 했는데, 윤원
                                                                        9)
               철은 성철의 경우 ‘신속보다는 동시적(simultaneous)’이라고 보았다.  이
               점에서는 왕양명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해당될 수 있다.

                 불교에서는 ‘망념(불각, 중생성)에서 각(불성)으로’라는 수행의 도식이 있
               다면 유교에서는 기본적으로 ‘기질지성’(氣質之性. 七情)에서 ‘본연지성’(本

               然之性)으로 라는 도식이 있다.



                학문 장르        범·속(凡·俗)           수행 공부            성(聖)
                  불교     망념(妄念)=불각(不覺)=            →
                  성철         중생성(衆生性)        신속 혹은 동시적       각(覺)=불성(佛性)
                         기질지성(氣質之性)=칠정             →
                 주자학,                          점진적 혹은
                 왕양명                                        ‘본연지성’(本然之性)
                                (七情)              신속
               [표2: 불교, 성철, 주자학, 왕양명의 수행 도식]


                 ‘돈’은 시간적이 아니라, 논리적인 것이며, 일상적 차원에서 종교적 차





               9)  윤원철(2013), 451-2 참조.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