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04 - 퇴옹학보 제17집
P. 204

204 • 『퇴옹학보』 제17집




            아니라 돈오점수라고 해서는 안 된다. 양명은 기본적으로 돈오돈수의

            입장이지만 제자들의 눈높이에 따라 설명하는 이른바 대기설법에 따른
            것으로 보아야 한다. 양명은 정법(定法)을 고수하기보다도 체인·자득을

                                                                   14)
            중시하였다. 또한 ‘병에 따라 그에 적합한 처방을 하는’(因病立方)  교육
            방법을 통하여 각 개인의 개성을 발현시키는데 중점을 두었다. 그래서
            문하에서는 그가 설하는 양지가 받아들이는 자의 기질이나 태도를 포

            함한 이른바 개성의 여하에 따라 이해 및 해석의 방식이 달라질 수 있
            었다. ‘사구교’ 논쟁은 양명의 제자들 사이에 존재했던 치양지설 이해의

            차이에서 비롯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것은 양명학의 초기적 ‘분열’이라

            할만하다.
               양명학 분열의 징조는 왕양명 생존 당시, 왕기와 전덕홍이 스승이 말

            한 적 있는 ‘사구교’에 대해 서로 논하다가 의견이 대립된 것이었다. 가
            정(嘉靖) 6년(1527, 양명 56세) 9월 왕양명이 사주(思州)·전주(田州)의 반란

            을 진압  이른바 ‘사전원정’(恩田遠征)-을 위해 출발하려던 전날 밤 소흥

            의 천천교(天泉橋)에서 이루어졌다.



               선도 없고 악도 없는 것이 마음의 본래 모습이다(無善無惡心之體).

               선도 있고 악도 있는 것이 의지의 움직임이다(有善有惡意之動).
               선을 알고 악을 아는 것이 양지이다(知善知惡是良知).

               선을 행하고 악을 떨치는 것이 격물이다(爲善去惡是格物).





            14)  徐愛, 「傳習錄序」, 『陽明集』.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