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97 - 퇴옹학보 제18집
P. 197

퇴옹성철의 중도법문이 한국불교에 미친 영향 • 197




               무엇보다 80년대 들어 교계에서 중도사상의 중요성을 알린 것은 바로

               퇴옹 자신이다. 1988년 월간 『불광』에 ‘성철’의 이름으로 『불교의 근본
                                                                   55)
               사상은 중도』라는 주제로 1년 동안 12회에 걸쳐 연재되었다.  종정이
               직접 중도사상을 주제로 한 원고를 1년 동안 연재했다는 점에서 중도사

               상에 대한 교계의 관심을 고조시키는데 일조했을 것으로 평가된다.
                 실제로 90년 년대 들어서 학위논문과 연구논문이 꾸준히 발표되기

               시작했다.  1991년  「유교의  중용사상과  불교의  중도사상에  관한  연
                  56)
                                                                        57)
               구」 가 박사논문으로 발표되었고, 1993년 「원시불교의 중도사상」 이
               석사논문으로 발표되었다. 2010년에 「초기불교를 통해 본 <조론>의 중

                          58)
                                                         59)
               도사상 연구」 와 「중변분별론의 중도사상 연구」 가 박사논문으로 발
                                                               60)
               표되었고, 2015년에도 「경허성우의 중도불이 사상연구」 가 박사논문
               으로 발표되었다.

                 또 중도를 주제로 한 주요 논문을 살펴보면 1992년 「팔불중도사상
                                                         61)
               의 시원으로서의 『도간경』과 연기의 중도적 의미」,  1999년 「천태와 삼
                                                    62)
               론사상에 나타난 공·가·중의 세 가지 관점」,  2001년 「선불교와 중도사





               55) 성철(1988), 65.
               56) 최일범, 「儒敎의 中庸思想과 佛敎의 中道思想에 관한 硏究」(成均館大學校, 1991).
               57) 김진경, 「原始佛敎의 中道思想」(高麗大學校, 1993).
               58) 한성자, 「초기불교를 통해 본 <肇論>의 中道사상 연구」(동국대학교, 2010).
               59) 곽진희, 「中邊分別論의 中道思想 硏究」(동국대학교, 2010).
               60) 홍현지, 「鏡虛 惺牛의 ‘中道不二҆ 思想 硏究」(동국대학교, 2015).
               61)  김성철,  八不中道思想의  始原으로서의  『稻竿經』과  緣起의  中道的  意味(『佛敎硏究』,
                  1992).
               62) 이병욱, 「천태와 삼론사상에 나타난 공·가·중의 세 가지 관점」(『불교학연구』, 1999).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