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98 - 퇴옹학보 제18집
P. 198
198 • 『퇴옹학보』 제18집
64)
63)
상」, 2016년 「용수의 중관사상에서 중도 개념 재검토」 등이 있다.
이 밖에도 중도사상에 대한 응용을 다룬 논문을 살펴보면 「어떻게 믿
65)
고, 어떻게 닦을 것인가: 중도사상의 현대적 해석」, 「연기법의 중도사
66)
상에 기초한 상담 모형의 탐색」, 「사회복지 욕구이론과 중도사상 일고
67)
68)
찰」, 「대승불교의 원융·중도사상과 제4차 산업혁명의 Framework」
등이 있다. 그러나 중도사상을 주제로 한 단행본은 손에 꼽을 정도이다.
69)
『용수의 중도 사상』, 『성철선사상: 돈오돈수와 중도·영원에서 영원으
71)
70)
로』, 『붓다의 철학: 중도, 그 핵심과 사상체계』, 『붓다, 중도로 살
72)
다』 등이 전부라고 할 있다.
이상 고찰한 바와 같이 퇴옹이 백일법문을 통해 불교의 핵심은 중도
라고 설하기 전에는 중도사상에 관한 글이 단 두 편에 불과했다. 중도사
상에 대한 대부분의 논문과 기고문은 백일법문이 설해진 이후에 발표
된 것들이다. 발표된 논문과 저널, 그리고 발표 추이를 종합할 때 중도
사상이 한국불교계의 중심적인 주제로 자리 잡게 한 것은 백일법문이
63) 정무환, 「선불교와 中道思想」(『韓國佛敎學』, 2001).
64) 남수영, 용수의 중관사상에서 중도 개념 재검토(『普照思想』, 2016).
65) 정병조, 「중도사상의 현대적 해석」(多寶, 1992).
66) 조혜진, 「연기법의 중도 사상에 기초한 상담 모형의 탐색」(동국대학교, 2001).
67) 임해영, 「사회복지 욕구이론과 중도사상 一考察」(『佛敎硏究』, 2004).
68) 이흥제, 「대승불교의 원융·중도사상과 제4차 산업혁명의 Framework」(동국대학교
2017).
69) 문을식, 『용수의 중도 사상』(서울: 여래, 2004).
70) 도대현, 『성철선사상 : 돈오돈수와 중도·영원에서 영원으로』(2011, 운주사).
71) 이중표, 『붓다의 철학 : 중도, 그 핵심과 사상체계』(불광출판사, 2018).
72) 도법, 『붓다, 중도로 살다』(서울: 불광출판사,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