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0 - 고경 - 2018년 11월호 Vol. 67
P. 50
아무튼, 첫째 교리해석과 수행
방법에서 기존의 불교도와 마하
야나 제자들 사이에 차이가 존재
했다. 둘째 전통적으로 본교를 지
지해 왔던 귀족·대신들과 불교
를 통해 새로운 사회를 만들고자
노력해왔던 왕실 사이에 갈등이
잠복해 있었다. 왕실이 인도불학
을 정통으로 본 반면 귀족·대신
들은 상대적으로 중국에서 온 마
하야나를 지지하는 이가 많았
다. 교리해석·수행방법의 차
13)
이 그리고 왕실과 귀족 사이의 대
김치온 씨가 역주한 『돈오대승정리결』.
립이 삼예종론 발생의 주요한 원
인이 됐음을 알 수 있다. 논쟁은
어떤 내용으로 진행됐을까? 『바세』의 기록을 보자.
“① 마하야나가 말했다. ‘선과 악은 마음의 분별심 때문에 생기
고, 이로 인해 중생들은 삼악도(지옥·아귀·축생)와 삼선도(천·
인·아수라)에 태어나는 등 윤회를 하게 된다. 무엇도 생각하지
않고, 무엇도 하지 않으면 윤회에서 벗어나 해탈하게 된다. 그
13) 周拉著, 『莲花戒名著《修习次第論》研究』, 北京:宗教文化出版社, 2010, p.27.
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