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7 - 고경 - 2019년 2월호 Vol. 70
P. 57

4)
                분과 견분이 거기에 의지하는 있는 자체自體를 사체[사事] 라고
                부르는데, 곧 자증분이다. 이것이 만약 없다면, 사람은 자신의
                [이전의] 심법과 심소법를 기억할 수 없을 것이다. 마치 일찍이

                경험하지 않은 대상은 반드시 기억할 수 없는 것과 같다.”                 5)



              자증분은 상분과 견분이 의지하는 몸체이고, 이 몸체가 기억을 가능하
            게 한다는 것이다. 자증분이 기억을 가능하게 하는 이유는 자증분이 이전

            의 심법과 심소법의 상분과 견분을 저장해두기 때문이다. 기억과 자증분
            의 관계에 대한 현장의 설명은 기억이 자증분의 존재에 대한 인식근거이

            고 자증분이 기억의 발생에 대한 존재근거라는 논증이기도 하다. 어쨌든
            자증분은 마음을 네 부분으로 나누었을 때의 제3분이다. 현장은 제3자증

            분이 제2견분과 제4증자증분과 맺는 관계에 대해서도 설명한다:



                “제3자증분은 제2견분과 제4증자증분을 연한다. [제4의] 증자
                증분은 오직 제3자증분을 연하고, 제2견분을 연하지는 않는데

                쓸모가 없기 때문이다.”       6)



              제4증자증분이 제2견분을 인식하는(연하는) 것이 쓸모가 없는 이유는







            4)  Fransis H. Cook, Three Texts on Consciousness Only, Berkeley: Numata Center for Buddhist

             Translation, 1999, p. 62: “the substance”.
            5)  成唯識論』, T1585_.31.0010b05-b09: 達無離識所縁境者. 則説相分是所縁. 見分名行相. 相見所依自

             體名事. 即自證分. 此若無者應不自憶心心所法. 如不曾更境必不能憶故. 『성유식론 외』, 김묘주 역주,
             173쪽 참고.
            6) 『成唯識論』, T1585_.31.0010b24-b26: 第三能縁第二第四. 證自證分唯縁第三. 非第二者以無用故.


                                                                        55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