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4 - 고경 - 2019년 4월호 Vol. 72
P. 114

침을 말한다. 이 점교를 열어서 다섯 시기로 나누어, 삼승별교三乘別敎(아

           함경, 육바라밀설)·삼승통교三乘通敎(반야경)·억양교抑揚敎(유마경, 사익경思益
           經)·동귀교同歸敎(법화경)·상주교常住敎(열반경)의 오교五敎로 구분하는 오

           시교판五時敎判을 주장하였다. 중국불교에서 자주 거론되는 오시교판의
           근원으로서, 천태종天台宗의 오시교판보다 먼저 설해진 것이 바로 혜관의

           오시교판이다.
             그러나 이 돈점이교頓漸二敎와 오시교판은 후대의 학자들에게 비판되

           었다. 먼저 수대隋代에 활약한 삼론학의 길장은 『삼론현의』에서 소개 비판
           하였고, 또한 『법화현론法華玄論』에서도 혜관의 교판설을 비판하였다. 그

           러나 혜관이 제시한 교판설의 조직 체계는 불교 교판설의 기반이 되어,
           이후 중국불교의 여러 종파에서 제창한 다양한 교판설의 토대가 되었고,

           신라 원효도 교판설을 제안하였다.
             혜관의 제자에 승복僧馥이 있어, 『대품경』과 『소품경』 『잡심雜心』을 잘

           하였다고 한다. 또 혜관의 『열반경』 연구를 계승한 제자에 영근사靈根寺
           법원法瑗(409~489)이 있었는데, 도생의 돈오설을 지지하였다고 한다.




             7) 혜엄慧嚴(363~443)
             16세에 출가하여 구마라집의 제자가 되어 중용되었다. 나중에 건강으
           로 돌아가 동안사東安寺에서 거주하였으며, 『무생멸론無生滅論』과 『노자약

           주老子略注』를 저술하였다. 『무생멸론』은 그 제목에서 표출되듯이 반야 삼
           론사상을 논의한 것으로 보인다. 담무참曇無讖이 한역한 북본의 40권 『대

           반열반경』이 전해지자 혜관·혜엄·사령운이 함께 수정하여 남본南本의
           36권 『대반열반경』을 편집하였다. 제자에 법지法智가 있어, 『성실론』과






           112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