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8 - 고경 - 2019년 7월호 Vol. 75
P. 138

실過失을G 가지고G 있고G 공덕은G 원만圓滿G 하지G 못하며bG O교주의PG 가르침은G 중생
                                    실過失을G 가지고G 있고G 공덕은G 원만圓滿G 하지G 못하며bG O교주의PG 가르침은G 중생
           실過失을G 가지고G 있고G 공덕은G 원만圓滿G 하지G 못하며bG O교주의PG 가르침은G 중생
            실過失을G 가지고G 있고G 공덕은G 원만圓滿G 하지G 못하며bG O교주의PG 가르침은G 중생
                                    실過失을G 가지고G 있고G 공덕은G 원만圓滿G 하지G 못하며bG O교주의PG 가르침은G 중생
 실過失을G 가지고G 있고G 공덕은G 원만圓滿G 하지G 못하며bG O교주의PG 가르침은G 중생 들에게G 손해나G 해를G 끼치며bG ‘변함없이G 존재하고‚상常„’SG ‘하나이며‚일一„’SG ‘자
 실過失을G 가지고G 있고G 공덕은G 원만圓滿G 하지G 못하며bG O교주의PG 가르침은G 중생 들에게G 손해나G 해를G 끼치며bG ‘변함없이G 존재하고‚상常„’SG ‘하나이며‚일一„’SG ‘자
            들에게G 손해나G 해를G 끼치며bG ‘변함없이G 존재하고‚상常„’SG ‘하나이며‚일一„’SG ‘자
           들에게G 손해나G 해를G 끼치며bG ‘변함없이G 존재하고‚상常„’SG ‘하나이며‚일一„’SG ‘자
 실過失을G 가지고G 있고G 공덕은G 원만圓滿G 하지G 못하며bG O교주의PG 가르침은G 중생 들에게G 손해나G 해를G 끼치며bG ‘변함없이G 존재하고‚상常„’SG ‘하나이며‚일一„’SG ‘자
 들에게G 손해나G 해를G 끼치며bG ‘변함없이G 존재하고‚상常„’SG ‘하나이며‚일一„’SG ‘자 재한G 나‚자아自我„’는G 있다는G 견해G 등G 세G 가지G 차이를G 구비하고G 있기G 때문이
 들에게G 손해나G 해를G 끼치며bG ‘변함없이G 존재하고‚상常„’SG ‘하나이며‚일一„’SG ‘자 재한G 나‚자아自我„’는G 있다는G 견해G 등G 세G 가지G 차이를G 구비하고G 있기G 때문이
            재한G 나‚자아自我„’는G 있다는G 견해G 등G 세G 가지G 차이를G 구비하고G 있기G 때문이
           재한G 나‚자아自我„’는G 있다는G 견해G 등G 세G 가지G 차이를G 구비하고G 있기G 때문이
 들에게G 손해나G 해를G 끼치며bG ‘변함없이G 존재하고‚상常„’SG ‘하나이며‚일一„’SG ‘자 재한G 나‚자아自我„’는G 있다는G 견해G 등G 세G 가지G 차이를G 구비하고G 있기G 때문이
 재한G 나‚자아自我„’는G 있다는G 견해G 등G 세G 가지G 차이를G 구비하고G 있기G 때문이 다UG 외도와G 불교의G 교의에G 대해G 구체적으로G 설명함에G 두G 가지G 방식이G 있다UG
 재한G 나‚자아自我„’는G 있다는G 견해G 등G 세G 가지G 차이를G 구비하고G 있기G 때문이 다UG 외도와G 불교의G 교의에G 대해G 구체적으로G 설명함에G 두G 가지G 방식이G 있다UG
            다UG 외도와G 불교의G 교의에G 대해G 구체적으로G 설명함에G 두G 가지G 방식이G 있다UG
           다UG 외도와G 불교의G 교의에G 대해G 구체적으로G 설명함에G 두G 가지G 방식이G 있다UG
 재한G 나‚자아自我„’는G 있다는G 견해G 등G 세G 가지G 차이를G 구비하고G 있기G 때문이 다UG 외도와G 불교의G 교의에G 대해G 구체적으로G 설명함에G 두G 가지G 방식이G 있다UG
                                     외도의G ‘교의敎義G 원리原理’를G 대략적으로G 설명하는G 것과G 불교의G ‘교의G 원리’
 다UG 외도와G 불교의G 교의에G 대해G 구체적으로G 설명함에G 두G 가지G 방식이G 있다UG
                                    외도의G ‘교의敎義G 원리原理’를G 대략적으로G 설명하는G 것과G 불교의G ‘교의G 원리’
 다UG 외도와G 불교의G 교의에G 대해G 구체적으로G 설명함에G 두G 가지G 방식이G 있다UG
            외도의G ‘교의敎義G 원리原理’를G 대략적으로G 설명하는G 것과G 불교의G ‘교의G 원리’
           외도의G ‘교의敎義G 원리原理’를G 대략적으로G 설명하는G 것과G 불교의G ‘교의G 원리’
 다UG 외도와G 불교의G 교의에G 대해G 구체적으로G 설명함에G 두G 가지G 방식이G 있다UG 외도의G ‘교의敎義G 원리原理’를G 대략적으로G 설명하는G 것과G 불교의G ‘교의G 원리’
 외도의G ‘교의敎義G 원리原理’를G 대략적으로G 설명하는G 것과G 불교의G ‘교의G 원리’ 를G 각파G 별로G 구분해G 말하는G 것이G 그것이다UG G
 외도의G ‘교의敎義G 원리原理’를G 대략적으로G 설명하는G 것과G 불교의G ‘교의G 원리’ 를G 각파G 별로G 구분해G 말하는G 것이G 그것이다UG G
            를G 각파G 별로G 구분해G 말하는G 것이G 그것이다UG G G
           를G 각파G 별로G 구분해G 말하는G 것이G 그것이다UG
 외도의G ‘교의敎義G 원리原理’를G 대략적으로G 설명하는G 것과G 불교의G ‘교의G 원리’ 를G 각파G 별로G 구분해G 말하는G 것이G 그것이다UG G
                                     G
 를G 각파G 별로G 구분해G 말하는G 것이G 그것이다UG G
                                    G
 를G 각파G 별로G 구분해G 말하는G 것이G 그것이다UG G
            G
 G 각파G 별로G 구분해G 말하는G 것이G 그것이다UG G G
                                    G
 를G
                                     외도의G ‘교의G 원리’를G 대략적으로G 설명함Oམདོར་བསྡུས་ཏེ་བཤད་པ།PG
                                    외도의G ‘교의G 원리’를G 대략적으로G 설명함Oམདོར་བསྡུས་ཏེ་བཤད་པ།PG
 G
            외도의G ‘교의G 원리’를G 대략적으로G 설명함Oམདོར་བསྡུས་ཏེ་བཤད་པ།PG
           외도의G ‘교의G 원리’를G 대략적으로G 설명함Oམདོར་བསྡུས་ཏེ་བཤད་པ།PG
                                    외도의G ‘교의G 원리’를G 대략적으로G 설명함Oམདོར་བསྡུས་ཏེ་བཤད་པ།PG
 G
 외도의G ‘교의G 원리’를G 대략적으로G 설명함Oམདོར་བསྡུས་ཏེ་བཤད་པ།PG
                                     G 먼저G 교의를G 설명하는G 세부항목G 가운데SG 삼보에G 귀의하지G 않고G 다른G 교주가G
                                    G 먼저G 교의를G 설명하는G 세부항목G 가운데SG 삼보에G 귀의하지G 않고G 다른G 교주가G
 외도의G ‘교의G 원리’를G 대략적으로G 설명함Oམདོར་བསྡུས་ཏེ་བཤད་པ།PG
           G 먼저G
 외도의G ‘교의G 원리’를G 대략적으로G 설명함Oམདོར་བསྡུས་ཏེ་བཤད་པ།PG 교의를G 설명하는G 세부항목G 가운데SG 삼보에G 귀의하지G 않고G 다른G 교주가G
            G 먼저G 교의를G 설명하는G 세부항목G 가운데SG 삼보에G 귀의하지G 않고G 다른G 교주가G
                                    G 먼저G 교의를G 설명하는G 세부항목G 가운데SG 삼보에G 귀의하지G 않고G 다른G 교주가G
                                                                                                 YX
                                     있다고G 승인하는G 사람이G 바로G 외도의G 교의를G 말하는G 사람의G 정의Oམཚན་཈ིད།P 다UG
 G 먼저G 교의를G 설명하는G 세부항목G 가운데SG 삼보에G 귀의하지G 않고G 다른G 교주가G
                                                                                                 YX
                                    있다고G 승인하는G 사람이G 바로G 외도의G 교의를G 말하는G 사람의G 정의Oམཚན་཈ིད།P 다UG
 G 먼저G 교의를G 설명하는G 세부항목G 가운데SG 삼보에G 귀의하지G 않고G 다른G 교주가G
                                                                        YX
                                                                         YX
            있다고G 승인하는G 사람이G 바로G 외도의G 교의를G 말하는G 사람의G 정의Oམཚན་཈ིད།P 다UG
                                                                                                YX
           있다고G 승인하는G 사람이G 바로G
 G 먼저G 교의를G 설명하는G 세부항목G 가운데SG 삼보에G 귀의하지G 않고G 다른G 교주가G 외도의G 교의를G 말하는G 사람의G 정의Oམཚན་཈ིད།P 다UG
                                  YX 있다고G 승인하는G 사람이G 바로G 외도의G 교의를G 말하는G 사람의G 정의Oམཚན་཈ིད།P 다UG
 있다고G 승인하는G 사람이G 바로G 외도의G 교의를G 말하는G 사람의G 정의Oམཚན་཈ིད།P 다UG
                                     외도를G 분류하면G 무수하다UG 요약하면G 비쉬누O편입천遍入天SG }š•œSG ཁབ་འཇུག་པ།PSG
                                  YX
                                    외도를G 분류하면G 무수하다UG 요약하면G 비쉬누O편입천遍入天SG }š•œSG ཁབ་འཇུག་པ།PSG
 있다고G 승인하는G 사람이G 바로G 외도의G 교의를G 말하는G 사람의G 정의Oམཚན་཈ིད།P 다UG
                                 YX
           외도를G 분류하면G 무수하다UG 요약하면G 비쉬누O편입천遍入天SG }š•œSG ཁབ་འཇུག་པ།PSG
            외도를G 분류하면G 무수하다UG 요약하면G 비쉬누O편입천遍入天SG }š•œSG ཁབ་འཇུག་པ།PSG
 있다고G 승인하는G 사람이G 바로G 외도의G 교의를G 말하는G 사람의G 정의Oམཚན་཈ིད།P 다UG 외도를G 분류하면G 무수하다UG 요약하면G 비쉬누O편입천遍入天SG }š•œSG ཁབ་འཇུག་པ།PSG
                                     마
 외도를G 분류하면G 무수하다UG 요약하면G 비쉬누O편입천遍入天SG }š•œSG ཁབ་འཇུག་པ།PSG헤쉬바라O자재천自在天SG zˆ,  MaheśvaraSG དབང་ཕྱུག་པ།PSG 자이나Oརྒྱལ་བ་པ།PSG 샹키야
 외도를G 분류하면G 무수하다UG 요약하면G 비쉬누O편입천遍入天SG }š•œSG ཁབ་འཇུག་པ།PSG
                                    마헤쉬바라O자재천自在天SG zˆ,  MaheśvaraSG དབང་ཕྱུག་པ།PSG 자이나Oརྒྱལ་བ་པ།PSG 샹키야
           마헤쉬바라O자재천自在天SG zˆ,  MaheśvaraSG དབང་ཕྱུག་པ།PSG 자이나Oརྒྱལ་བ་པ།PSG 샹키야
            마헤쉬바라O자재천自在天SG zˆ,  MaheśvaraSG དབང་ཕྱུག་པ།PSG 자이나Oརྒྱལ་བ་པ།PSG 샹키야
 외도를G 분류하면G 무수하다UG 요약하면G 비쉬누O편입천遍入天SG }š•œSG ཁབ་འཇུག་པ།PSG 마헤쉬바라O자재천自在天SG zˆ,  MaheśvaraSG དབང་ཕྱུག་པ།PSG 자이나Oརྒྱལ་བ་པ།PSG 샹키야
 마헤쉬바라O자재천自在天SG zˆ,  MaheśvaraSG དབང་ཕྱུག་པ།PSG 자이나Oརྒྱལ་བ་པ།PSG 샹키야 Ozāṃ’ ˆSG སེར་སྐྱ་བ།PSG 차르바카OCārvākaSG ཕུར་བུ་བ།PG 등G 다섯G 파가G 유명한G ‘사변思辨G
 마헤쉬바라O자재천自在天SG zˆ,  MaheśvaraSG དབང་ཕྱུག་པ།PSG 자이나Oརྒྱལ་བ་པ།PSG 샹키야 Ozāṃ’ ˆSG སེར་སྐྱ་བ།PSG 차르바카OCārvākaSG ཕུར་བུ་བ།PG 등G 다섯G 파가G 유명한G ‘사변思辨G
            Ozāṃ’ ˆSG སེར་སྐྱ་བ།PSG 차르바카OCārvākaSG ཕུར་བུ་བ།PG 등G 다섯G 파가G 유명한G ‘사변思辨G
           Ozāṃ’ ˆSG སེར་སྐྱ་བ།PSG 차르바카OCārvākaSG ཕུར་བུ་བ།PG 등G 다섯G 파가G 유명한G ‘사변思辨G
 마헤쉬바라O자재천自在天SG zˆ,  MaheśvaraSG དབང་ཕྱུག་པ།PSG 자이나Oརྒྱལ་བ་པ།PSG 샹키야 Ozāṃ’ ˆSG སེར་སྐྱ་བ།PSG 차르바카OCārvākaSG ཕུར་བུ་བ།PG 등G 다섯G 파가G 유명한G ‘사변思辨G
 Ozāṃ’ ˆSG སེར་སྐྱ་བ།PSG 차르바카OCārvākaSG ཕུར་བུ་བ།PG 등G 다섯G 파가G 유명한G ‘사변思辨G
                                     오부五部Oརོག་གེ་སེ་ལྔ་།P’다UG 근본G 육부로G 말하기도G 하는데SG 즉G 바이쉐시카O승론파勝
 Ozāṃ’ ˆSG སེར་སྐྱ་བ།PSG 차르바카OCārvākaSG ཕུར་བུ་བ།PG 등G 다섯G 파가G 유명한G ‘사변思辨G
                                    오부五部Oརོག་གེ་སེ་ལྔ་།P’다UG 근본G 육부로G 말하기도G 하는데SG 즉G 바이쉐시카O승론파勝
           오부五部Oརོག་གེ་སེ་ལྔ་།P’다UG 근본G 육부로G 말하기도G 하는데SG 즉G 바이쉐시카O승론파勝
            오부五部Oརོག་གེ་སེ་ལྔ་།P’다UG 근본G 육부로G 말하기도G 하는데SG 즉G 바이쉐시카O승론파勝
 Ozāṃ’ ˆSG སེར་སྐྱ་བ།PSG 차르바카OCārvākaSG ཕུར་བུ་བ།PG 등G 다섯G 파가G 유명한G ‘사변思辨G 오부五部Oརོག་གེ་སེ་ལྔ་།P’다UG 근본G 육부로G 말하기도G 하는데SG 즉G 바이쉐시카O승론파勝
 오부五部Oརོག་གེ་སེ་ལྔ་།P’다UG 근본G 육부로G 말하기도G 하는데SG 즉G 바이쉐시카O승론파勝 論派SG བྱེ་བྲག་པ།PSG 니야야O정리파正理派SG རིག་པ་ཅན།PSG 샹키야O수론파數論派SG གངས་ཅན་པ།PSG 미
 오부五部Oརོག་གེ་སེ་ལྔ་།P’다UG 근본G 육부로G 말하기도G 하는데SG 즉G 바이쉐시카O승론파勝 論派SG བྱེ་བྲག་པ།PSG 니야야O정리파正理派SG རིག་པ་ཅན།PSG 샹키야O수론파數論派SG གངས་ཅན་པ།PSG 미
           論派SG བྱེ་བྲག་པ།PSG 니야야O정리파正理派SG རིག་པ་ཅན།PSG 샹키야O수론파數論派SG གངས་ཅན་པ།PSG 미
            論派SG བྱེ་བྲག་པ།PSG 니야야O정리파正理派SG རིག་པ་ཅན།PSG 샹키야O수론파數論派SG གངས་ཅན་པ།PSG 미
 오부五部Oརོག་གེ་སེ་ལྔ་།P’다UG 근본G 육부로G 말하기도G 하는데SG 즉G 바이쉐시카O승론파勝 論派SG བྱེ་བྲག་པ།PSG 니야야O정리파正理派SG རིག་པ་ཅན།PSG 샹키야O수론파數論派SG གངས་ཅན་པ།PSG 미
 論派SG བྱེ་བྲག་པ།PSG 니야야O정리파正理派SG རིག་པ་ཅན།PSG 샹키야O수론파數論派SG
                                                          ), 니르그란타(나형
                                  ), 미맘사(사찰파伺察派,
           샹키야(수론파數論派,  གངས་ཅན་པ།PSG 미 맘사O사찰파伺察派SG དཔོད་པ་བ།PSG 니르그란타O나형파裸形派SG གཅེར་བུ་བ།PSG 차르바카O순세
 論派SG བྱེ་བྲག་པ།PSG 니야야O정리파正理派SG རིག་པ་ཅན།PSG 샹키야O수론파數論派SG གངས་ཅན་པ།PSG 미 맘사O사찰파伺察派SG དཔོད་པ་བ།PSG 니르그란타O나형파裸形派SG གཅེར་བུ་བ།PSG 차르바카O순세
           맘사O사찰파伺察派SG དཔོད་པ་བ།PSG 니르그란타O나형파裸形派SG གཅེར་བུ་བ།PSG 차르바카O순세
            맘사O사찰파伺察派SG དཔོད་པ་བ།PSG 니르그란타O나형파裸形派SG གཅེར་བུ་བ།PSG 차르바카O순세
 論派SG བྱེ་བྲག་པ།PSG 니야야O정리파正理派SG རིག་པ་ཅན།PSG 샹키야O수론파數論派SG གངས་ཅན་པ།PSG 미 맘사O사찰파伺察派SG དཔོད་པ་བ།PSG 니르그란타O나형파裸形派SG གཅེར་བུ་བ།PSG 차르바카O순세
 맘사O사찰파伺察派SG དཔོད་པ་བ།PSG 니르그란타O나형파裸形派SG གཅེར་བུ་བ།PSG 차르바카O순세 파順世派SG རྒྱང་འཕེན་པ།PG 등이G 그것이다UG 전자는G 상견파常見派Oརག་ལྟ།P에G 속하며G 후자
 맘사O사찰파伺察派SG དཔོད་པ་བ།PSG 니르그란타O나형파裸形派SG  ), 차르바카(순세파順世派,   ) 등이 그것이다. 전자는 상
           파裸形派, གཅེར་བུ་བ།PSG 차르바카O순세 파順世派SG རྒྱང་འཕེན་པ།PG 등이G 그것이다UG 전자는G 상견파常見派Oརག་ལྟ།P에G 속하며G 후자
           파順世派SG རྒྱང་འཕེན་པ།PG 등이G 그것이다UG 전자는G 상견파常見派Oརག་ལྟ།P에G 속하며G 후자
            파順世派SG རྒྱང་འཕེན་པ།PG 등이G 그것이다UG 전자는G 상견파常見派Oརག་ལྟ།P에G 속하며G 후자
 맘사O사찰파伺察派SG དཔོད་པ་བ།PSG 니르그란타O나형파裸形派SG གཅེར་བུ་བ།PSG 차르바카O순세 파順世派SG རྒྱང་འཕེན་པ།PG 등이G 그것이다UG 전자는G 상견파常見派Oརག་ལྟ།P에G 속하며G 후자
 파順世派SG རྒྱང་འཕེན་པ།PG 등이G 그것이다UG 전자는G 상견파常見派Oརག་ལྟ།P에G 속하며G 후자 는G 단견파斷見派Oཆད་ལྟ།P에G 포함된다UG
 파順世派SG རྒྱང་འཕེན་པ།PG 등이G 그것이다UG 전자는G 상견파常見派Oརག་ལྟ།P에G 속하며G 후자 는G 단견파斷見派Oཆད་ལྟ།P에G 포함된다UG
            는G 단견파斷見派Oཆད་ལྟ།P에G 포함된다UG
           는G 단견파斷見派Oཆད་ལྟ།P에G 포함된다UG
           견파常見派(རག་ལྟ།P에G 속하며G 후자 는G 단견파斷見派Oཆད་ལྟ།P에G 포함된다UG
 파順世派SG རྒྱང་འཕེན་པ།PG 등이G 그것이다UG 전자는G 상견파常見派O  )에 속하며 후자는 단견파斷見派(  )에 포함된다.
                                     G
 는G 단견파斷見派Oཆད་ལྟ།P에G 포함된다UG
 는G 단견파斷見派Oཆད་ལྟ།P에G 포함된다UG         G
 는G 단견파斷見派Oཆད་ལྟ།P에G 포함된다UG  G G    G  XUG 바이쉐시카O승론파PG GG 바이쉐시카O승론파P와G 니야야는G 각각G 성자G 카나다
 G
                                     XUG 바이쉐시카O승론파PG GG 바이쉐시카O승론파P와G 니야야는G 각각G 성자G 카나다
 G           1. 바이쉐시카(승론파)   바이쉐시카(승론파)와 니야야는 각각 성자 카나
             XUG 바이쉐시카O승론파PG GG 바이쉐시카O승론파P와G 니야야는G 각각G 성자G 카나다
            XUG 바이쉐시카O승론파PG GG 바이쉐시카O승론파P와G
                                                   YY 니야야는G 각각G 성자G 카나다
                                     XUG 바이쉐시카O승론파PG GG 바이쉐시카O승론파P와G 니야야는G 각각G 성자G 카나다
                                                                                         YZ
 G  XUG 바이쉐시카O승론파PG GG 바이쉐시카O승론파P와G 니야야는G 각각G 성자G 카나다 Orˆņ‹ˆSG གཟེགས་ཟན་པ། P와G 가우따마Onˆœ›ˆ”ˆG 혹은G h’ṣpādaS  རྐང་མིག P의G 제자들이G
                                                                                        YZ
                                                  YY
 XUG 바이쉐시카O승론파PG GG 바이쉐시카O승론파P와G 니야야는G 각각G 성자G 카나다 Orˆņ‹ˆSG གཟེགས་ཟན་པ། P와G 가우따마Onˆœ›ˆ”ˆG 혹은G h’ṣpādaS  རྐང་མིག P의G 제자들이G
            Orˆņ‹ˆSG གཟེགས་ཟན་པ། P와G 가우따마Onˆœ›ˆ”ˆG 혹은G h’ṣpādaS
                         YY
                                                                )의 제자들
                                                                YZ
                                                               YZ
                                                  YY
                          YY 22)
                                                               23)
                                                                                        YZ
           Orˆņ‹ˆSG
           다(Kaņda, གཟེགས་ཟན་པ།ག )와 가우따마(Gautama 혹은 Akṣpāda, རྐང་མིག P의G 제자들이G
                          YZ P와G 가우따마Onˆœ›ˆ”ˆG 혹은G h’ṣpādaS  རྐང་མིག P의G 제자들이G
 XUG 바이쉐시카O승론파PG GG 바이쉐시카O승론파P와G 니야야는G 각각G 성자G 카나다 Orˆņ‹ˆSG གཟེགས་ཟན་པ། P와G 가우따마Onˆœ›ˆ”ˆG 혹은G h’ṣpādaS  རྐང་མིག P의G 제자들이G
 YY
 Orˆņ‹ˆSG གཟེགས་ཟན་པ། P와G 가우따마Onˆœ›ˆ”ˆG 혹은G h’ṣpādaS  རྐང་མིག P의G 제자들이G
                                     형성한G 학파들이다UG 두G 학파가G 주장하는G 특징은G 조금G 다르지만G 일반적인G ‘교
 YY
                         YZ
                                    형성한G 학파들이다UG 두G 학파가G 주장하는G 특징은G 조금G 다르지만G 일반적인G ‘교
 Orˆņ‹ˆSG གཟེགས་ཟན་པ། P와G 가우따마Onˆœ›ˆ”ˆG 혹은G h’ṣpādaS  རྐང་མིག P의G 제자들이G
 YY
                         YZ
            형성한G 학파들이다UG 두G 학파가G 주장하는G 특징은G 조금G 다르지만G 일반적인G ‘교
           형성한G 학파들이다UG 두G 학파가G 주장하는G 특징은G 조금G
                                                        Y[ 다르지만G 일반적인G ‘교
 Orˆņ‹ˆSG གཟེགས་ཟན་པ། P와G 가우따마Onˆœ›ˆ”ˆG 혹은G h’ṣpādaS  རྐང་མིག P의G 제자들이G 형성한G 학파들이다UG 두G 학파가G 주장하는G 특징은G 조금G 다르지만G 일반적인G ‘교
 형성한G 학파들이다UG 두G 학파가G 주장하는G 특징은G 조금G 다르지만G 일반적인G ‘교 의’는G 큰G 차이가G 없다U G 바이쉐시카와G 니야야는G 일체사물O소지所知P을G ‘아홉G
           이 형성한 학파들이다. 두 학파가 주장하는 특징은 조금 다르지만 일반적
                                                       Y[
 형성한G 학파들이다UG 두G 학파가G 주장하는G 특징은G 조금G 다르지만G 일반적인G ‘교 의’는G 큰G 차이가G 없다U G 바이쉐시카와G 니야야는G 일체사물O소지所知P을G ‘아홉G
                               Y[
                              Y[
            의’는G 큰G 차이가G 없다U G 바이쉐시카와G 니야야는G 일체사물O소지所知P을G ‘아홉G
                                                       Y[
           의’는G 큰G 차이가G 없다U G 바이쉐시카와G 니야야는G 일체사물O소지所知P을G ‘아홉G
 형성한G 학파들이다UG 두G 학파가G 주장하는G 특징은G 조금G 다르지만G 일반적인G ‘교 의’는G 큰G 차이가G 없다U G 바이쉐시카와G 니야야는G 일체사물O소지所知P을G ‘아홉G
 Y[
 의’는G 큰G 차이가G 없다U G 바이쉐시카와G 니야야는G 일체사물O소지所知P을G ‘아홉G
 Y[
                                    24)
 의’는G 큰G 차이가G 없다U G 바이쉐시카와G 니야야는G 일체사물O소지所知P을G ‘아홉G
           인 ‘교의’는 큰 차이가 없다.  바이쉐시카와 니야야는 일체사물(소지所
 Y[
 의’는G 큰G 차이가G 없다U G 바이쉐시카와G 니야야는G 일체사물O소지所知P을G ‘아홉G


                                              Y\
                                             25)
                                     YX
                     개의G 실체가G
                                                        있는G
                                    YX 물질Oརྫས་དགུP’ 로G 파악한다UG 목욕SG 관정SG 단식SG 제사SG 화공火供G

                                      G 티베트어G མཚན་཈ིད།은G ①주요한G 특징G 혹은G 본질적인G 모습‚성상性相„bG ②논리학ㆍO불교P철

                                              知)을 ‘아홉 개의 실체가 있는 물질(  ུ)’ 로 파악한다. 목욕, 관정, 단식,
                                     G 티베트어G མཚན་཈ིད།은G ①주요한G 특징G 혹은G 본질적인G 모습‚성상性相„bG ②논리학ㆍO불교P철
                                              YX YX G 티베트어G མཚན་཈ིད།은G ①주요한G 특징G 혹은G 본질적인G 모습‚성상性相„bG ②논리학ㆍO불교P철
                                    YX
                                               Y\
                                               Y\
              G 티베트어G མཚན་཈ིད།은G ①주요한G 특징G 혹은G 본질적인G 모습‚성상性相„bG ②논리학ㆍO불교P철
                                     G 티베트어G མཚན་཈ིད།은G ①주요한G 특징G 혹은G 본질적인G 모습‚성상性相„bG
                                     학ㆍ변증법G 등의G 의미가G 있다UG 여기서는G 첫G 번째G 의미로G 사용됐다UG G ②논리학ㆍO불교P철
                      개의G 실체가G 있는G
 YX
                       개의G 실체가G 있는G 물질Oརྫས་དགུP’ 로G 파악한다UG 목욕SG 관정SG 단식SG 제사SG 화공火供G
                     등을G 해탈에G 이르는G 물질Oརྫས་དགུP’ 로G 파악한다UG 목욕SG 관정SG 단식SG 제사SG 화공火供G
 G 티베트어G མཚན་཈ིད།은G ①주요한G 특징G 혹은G 본질적인G 모습‚성상性相„bG ②논리학ㆍO불교P철 방법으로G 인정한다UG 스승이G 가르쳐G 준G 비결秘訣에G 따라G
                                                  Y\
                                                  Y\
                                              제사, 화공火供 등을 해탈에 이르는 방법으로 인정한다. 스승이 가르쳐 준
                              실
                                   G
                                체가
                                    학ㆍ변증법G 등의G 의미가G 있다UG 여기서는G 첫G 번째G 의미로G 사용됐다UG G
                          개의G 실체가G
 G 티베트어G མཚན་཈ིད།은G ①주요한G 특징G 혹은G 본질적인G 모습‚성상性相„bG ②논리학ㆍO불교P철 있는
                             G
                          개의
                                     YY 있는G 물질Oརྫས་དགུP’ 로G 파악한다UG 목욕SG 관정SG 단식SG 제사SG 화공火供GG 물질Oརྫས་དགུP’ 로G 파악한다UG 목욕SG 관정SG 단식SG 제사SG 화공火供G
 YX
                                      G 카나다의G 티베트어를G 글자G 그래도G 번역하면G ‘다른G 사람이G 흘린G 곡식G 알을G 주워G 먹으며G
           학ㆍ변증법G 등의G 의미가G 있다UG 여기서는G 첫G 번째G 의미로G 사용됐다UG G
            학ㆍ변증법G 등의G 의미가G 있다UG 여기서는G 첫G 번째G 의미로G 사용됐다UG G
 YX 학ㆍ변증법G 등의G 의미가G 있다UG 여기서는G 첫G 번째G 의미로G 사용됐다UG G ②논리학ㆍO불교P철 YY 학ㆍ변증법G 등의G 의미가G 있다UG 여기서는G 첫G 번째G 의미로G 사용됐다UG G
                      등을G 해탈에G 이
 G 티베트어G མཚན་཈ིད།은G ①주요한G 특징G 혹은G 본질적인G 모습‚성상性相„bG 등을G 해탈에G 이르는G 방법으로G 인정한다UG 스승이G 가르쳐G 준G 비결秘訣에G 따라G
                     수행해‚유가행을G르는G 방법으로G 인정한다UG 스승이G 가르쳐G 준G 비결秘訣에G 따라G
                                     G 카나다의G 티베트어를G 글자G 그래도G 번역하면G ‘다른G 사람이G 흘린G 곡식G 알을G 주워G 먹으며G
            YY
           YY
                                                            스승이
                                                         다
                                                                         준
                                                                 G
                                                                        G
                                                                      쳐
                                                   인정한
                                                  G
                                      르
                                                           UG
                                          G
                                     이
                                           방법으로
              G 카나다의G 티베트어를G 글자G 그래도G 번역하면G ‘다른G 사람이G 흘린G 곡식G 알을G 주워G 먹으며G비결秘訣에G 따라G
                          등을G 해탈에G 이르는G 방법으로G 인정한다UG 스승이G 가르쳐G 준G
                                        는
 학ㆍ변증법G 등의G 의미가G 있다UG 여기서는G 첫G 번째G 의미로G 사용됐다UG G티베트어를G 글자G 그래도G 번역하면G ‘다른G 사람이G 흘린G 곡식G 알을G 주워G 먹으며G 비결秘訣에G 따라G등을G  해탈에 G YY 닦아„G ‘아我OབདགP’와G ‘근根Oདབང་།P’G 등G 이외의G 다른G 의미를G 알아G
                                                                   가
                                                                           G
                                                                    르
             G 카나다의G
                                     수행하는G 사람’이라는G 의미다UG 그래도G 번역하면G ‘다른G 사람이G 흘린G 곡식G 알을G 주워G 먹으며G
                                     G 카나다의G 티베트어를G 글자G
 YY
 G 카나다의G 티베트어를G 글자G 그래도G 번역하면G ‘다른G 사람이G 흘린G 곡식G 알을G 주워G 먹으며G
 학ㆍ변증법G 등의G 의미가G 있다UG 여기서는G 첫G 번째G 의미로G 사용됐다UG G  수행해‚유가행을G 수행하는G 사람’이라는G 의미다UG  )’ 등 이외의 다
                       수행해‚유가행을G 닦아„G ‘아我OབདགP’와G ‘근根Oདབང་།P’G 등G 이외의G 다른G 의미를G 알아G
                                                             Y]
 G 카나다의G 티베트어를G 글자G 그래도G 번역하면G ‘다른G 사람이G 흘린G 곡식G 알을G 주워G 먹으며G 닦아„G ‘아我OབདགP’와G ‘근根Oདབང་།P’G 등G 이외의G 다른G 의미를G 알아G
                                     YZ
           비결秘訣에 따라 수행해[유가행을 닦아] ‘아我(
                                                  )’와 ‘근根(
 YY
            수행하는G 사람’이라는G 의미다UG 체득하고G 육구의六句義Oཚིག་གི་དོན་དྲུགP 의G 본성을G 확연히G 파악하는G
                                      G 가우따마의G 티베트어를G 글자G 그대로G 옮기면G ‘눈으로G 발만G 보며G 계율을G 엄격히G 지키고G
                     진여Oདེ་ཁོ་ན་཈ིད།P를G
           수행하는G 사람’이라는G 의미다UG
                                    YZ 수행하는G 사람’이라는G 의미다UG
                                           „G
                               ‚
                          수행해‚유가행을G 닦아„G ‘아我OབདགP’와G ‘근根Oདབང་།P’G 등G 이외의G 다른G 의미를G 알아G
                                        닦아
                                유가
                                                                 G
                                                                 ’
                                       G
                                             ‘
                                              아
                                                                  등
                                                            O
                                                                P
                          수행해
                                                                           다
                                                                                          G
                                                                             른
                                                                          G
                                                       G
                                                                                  미를
                                                                               G
                                                      와
                                                     ’
                                                                                      알아
                                                 O
                                                                                의
 YY 수행하는G 사람’이라는G 의미다UG 그래도G 번역하면G ‘다른G 사람이G 흘린G 곡식G 알을G 주워G 먹으며G G 가우따마의G 티베트어를G 글자G 그대로G 옮기면G ‘눈으로G 발만G 보며G 계율을G 엄격히G 지키고G
                                                    P
                                                                     이외의
                                                                                     G
                                               我
                                   행을
                                                           根
                                                                    G
                                                        ‘
                                                         근
                                                  བད
                                                             དབང་
                                                    ག
                                                                །
 G 카나다의G 티베트어를G 글자G
              G 가우따마의G 티베트어를G 글자G 그대로G 옮기면G ‘눈으로G 발만G 보며G 계율을G 엄격히G 지키고G
 수행하는G 사람’이라는G 의미다UG  YZ YZ G 가우따마의G 티베트어를G 글자G 그대로G 옮기면G ‘눈으로G 발만G 보며G 계율을G 엄격히G 지키고G
                                    YZ
                                     다른G 움직임이G 없는G 수행자’라는G 뜻이다UG G G G
                                                               Y]
                                     G 가우따마의G 티베트어를G 글자G 그대로G 옮기면G ‘눈으로G 발만G 보며G 계율을G 엄격히G 지키고G
                                                              Y]
 YZ
                                    다른GG 본성이나G 조작이G 없다’는G 것을G 본성을G 확연히G 파악하는G
                       진여Oདེ་ཁོ་ན་཈ིད།P를G 체득하고G 육구의六句義Oཚིག་གི་དོན་དྲུགP 의G 본성을G 확연히G 파악하는G
 G 가우따마의G 티베트어를G 글자G 그대로G 옮기면G ‘눈으로G 발만G 보며G 계율을G 엄격히G 지키고G 움직임이G 없는G 수행자’라는G 뜻이다UG G G G알게G 되고SG ‘법Oཆོས།P’과G
 수행하는G 사람’이라는G 의미다UG  그G 날SG ‘나는G 보편적인                           26)
                      진여Oདེ་ཁོ་ན་཈ིད།P를G 체득하고G 육구의六句義Oཚིག་གི་དོན་དྲུགP 의G Y]Y]
                                    Y[ 다른G 움직임이G 없는G 수행자’라는G 뜻이다UG G G G의 본성
                             O
                                      G
 YZ
                                   P
                                     Y[
 G 가우따마의G 티베트어를G 글자G 그대로G 옮기면G ‘눈으로G 발만G 보며G 계율을G 엄격히G 지키고G 체득하고G 육구의六句義Oཚིག་གི་དོན་དྲུགP 의G 본성을G 확연히G 파악하는G의G 본성을G 확연히G 파악하는G
                                    를
                          진여
                          진여Oདེ་ཁོ་ན་཈ིད།P를G 체득하고G 육구의六句義Oཚིག་གི་དོན་དྲུགP )
            다른G 움직임이G 없는G 수행자’라는G 뜻이다UG G G G
                                      G 두G 학파는G 교리의G 유사성으로G 인해G 니야야ㆍ바이쉐시카학파로G 불린다UG 이태승G 지음SG
                              དེ་
                                 ཈ིད།
                                ན་
                               ཁོ་
           다른G 움직임이G 없는G 수행자’라는G 뜻이다UG G G G
 YZ 다른G 움직임이G 없는G 수행자’라는G 뜻이다UG G G G  른 의미를 알아 진여(  )를 체득하고 육구의六句義(
 G 가우따마의G 티베트어를G 글자G 그대로G 옮기면G ‘눈으로G 발만G 보며G 계율을G 엄격히G 지키고G
                                      G 두G 학파는G 교리의G 유사성으로G 인해G 니야야ㆍ바이쉐시카학파로G 불린다UG 이태승G 지음SG
                      그G 날SG ‘나는G 보편적인G 본성이나G 조작이G 없다’는G 것을G
                     ‘법G 아닌Oཆོས་མ་ཡིན།P’G 어떤G 업業Oལས།P도G 쌓지G 않게G 된다UG 새로운 알게G 되고SG ‘법Oཆོས།P’과G
                       그G 날SG ‘나는G 보편적인G 본성이나G 조작이G 없다’는G 것을G 알게G 되고SG
              G 두G 학파는G 교리의G 유사성으로G 인해G 니야야ㆍ바이쉐시카학파로G 불린다UG 이태승G 지음SG ‘법Oཆོས།P’과G
                                     『인도철학산책』SG 서울a정우서적SGYWW^S—UXYYUGG 업도G 집적하지G 않
 다른G 움직임이G 없는G 수행자’라는G 뜻이다UG G G G  Y[ Y[ G 두G 학파는G 교리의G 유사성으로G 인해G 니야야ㆍ바이쉐시카학파로G 불린다UG 이태승G 지음SG
                                    Y[
                                     G 두G 학파는G 교리의G 유사성으로G 인해G 니야야ㆍ바이쉐시카학파로G 불린다UG 이태승G 지음SG
 G 두G 학파는G 교리의G 유사성으로G 인해G 니야야ㆍ바이쉐시카학파로G 불린다UG 이태승G 지음SG 보편적인G 본성이나G 조작이G 없다’는G 것을G 알게G 되고SG ‘법Oཆོས།P’과G그G
 Y[
                                    G
                          그G 날SG ‘나는G 보편적인G 본성이나G 조작이G 없다’는G 것을G 알게G 되고SG ‘법Oཆོས།P’과G
                            날
                               G
                              S
                                  는
                                나
                                ‘
                                    『인도철학산책』SG 서울a정우서적SGYWW^S—UXYYUG
 다른G 움직임이G 없는G 수행자’라는G 뜻이다UG G G G  을 확연히 파악하는 그 날, ‘나는 보편적인 본성이나 조작이 없다’는
                                                                     5 것을
 Y[
            『인도철학산책』SG 서울a정우서적SGYWW^S—UXYYUG
 G 두G 학파는G 교리의G 유사성으로G 인해G 니야야ㆍ바이쉐시카학파로G 불린다UG 이태승G 지음SG
                     고G 오래된G 업은G 모두G 소진되어G 새로G 받은G 몸SG O감각P기관SG 마음Oབློ།PSG 즐거움SG 않
                       ‘법G 아닌Oཆོས་མ་ཡིན།P’G 어떤G 업業Oལས།P도G 쌓지G 않게G 된다UG 새로운G 업도G 집적하지G 않
                      ‘법G 아닌Oཆོས་མ་ཡིན།P’G 어떤G 업業Oལས།P도G 쌓지G 않게G 된다UG 새로운G 업도G 집적하지G
                                    『인도철학산책』SG 서울a정우서적SGYWW^S—UXYYUG
 Y[ 『인도철학산책』SG 서울a정우서적SGYWW^S—UXYYUG  『인도철학산책』SG 서울a정우서적SGYWW^S—UXYYUG  5
 G 두G 학파는G 교리의G 유사성으로G 인해G 니야야ㆍ바이쉐시카학파로G 불린다UG 이태승G 지음SG
                                             업業
                             아
                               닌
                                            G
                                O
                                                O
                                       ’
                            G
                                       G
                                        어떤
                                      P
                                                               G
                                                          G
                                                           않게
                                                                된다
                                                                                     지
                                                                                집적하
                                                                               G
                                                                   UG
                                                                          G
                                                                     새로운
                                                                             도
                          ‘
                                                                           업
                                                                                        않
                                                                                       G
                                                    도
                          법
                                                      G
                                                       쌓지
                                                   P
                                 ཆོས་མ
                                     ིན།
                                    ་
                                                 ལས།
                                    ཡ
 『인도철학산책』SG 서울a정우서적SGYWW^S—UXYYUG  ‘법G 아닌Oཆོས་མ་ཡིན།P’G 어떤G 업業Oལས།P도G 쌓지G 않게G 된다UG 새로운G 업도G 집적하지G 않
                                            5
                                           5

                                                                    5
 『인도철학산책』SG 서울a정우서적SGYWW^S—UXYYUG 5  5   고통SG 탐욕SG 화냄G 모두G 소진되어G 새로G 받은G 몸SG O감각P기관SG 마음Oབློ།PSG 즐거움SG
                      고G 오래된G 업은G
                       고G 오래된G 업은G 모두G 소진되어G 새로G 받은G 몸SG O감각P기관SG 마음Oབློ།PSG 즐거움SG
                                      등이G 나와G 분리되고G 또한G 새로운G 몸과G O감각P기관을G 받지G
                          고G 오래된G 업
     5                    고 G  오 래된 G    업은G 모두G 소진되어G 새로G 받은G 몸SG O감각P기관SG 마음Oབློ།PSG 즐거움SG은G 모두G 소진되어G 새로G 받은G 몸SG O감각P기관SG 마음Oབློ།PSG 즐거움SG
                       고통SG 탐욕SG 화냄G 등이G 나와G 분리되고G 또한G 새로운G 몸과G O감각P기관을G 받지G
                      고통SG 탐욕SG 화냄G 등이G 나와G 분리되고G 또한G 새로운G 몸과G O감각P기관을G 받지G
                     않기에G 땔감이G 다G 타버린G 불처럼G 생명의G 흐름이G 끊어지고G 오직G 나OབདགP만이G
                                         등이
                                        G
                                  SG
                                                               새로운
                          고통
                                                                    G
                                                              G
                             SG
                                                                                기관을
                                                         G
                                                          또한
                                      냄
                                                    리되고
                                                  분
                                                 G
                                                                                     G
                                                                                      받지
                                    화
                                                                          O
                               탐욕
                                                                     몸과
                                                                         G
                                            G
                                                                             각
                                                                               P
                                             나와
                                                                           감
                          고통SG 탐욕SG 화냄G 등이G 나와G 분리되고G 또한G 새로운G 몸과G O감각P기관을G 받지G           G
                      않기에G 땔감이G 다G 타버린G 불처럼G 생명의G 흐름이G
                       않기에G 땔감이G 다G 타버린G 불처럼G 생명의G 흐름이G 끊어지고G 오직G 나OབདགP만이G
                     존재하게G 되는G 그때G “해탈을G 얻었다U”라고G 말한다UG 끊어지고G 오직G 나OབདགP만이G
                          않기에  G  땔감이 G  다 G  타버린 G  불 처럼 G  생명의 G  흐름이 G  끊 어지고 G  오직 G  나 O བད ག P 만 이 G
                          않기에G 땔감이G 다G 타버린G 불처럼G 생명의G 흐름이G 끊어지고G 오직G 나OབདགP만이G
                     G 존재하게G 되는G 그때G “해탈을G 얻었다U”라고G 말한다UG
                      존재하게G 되는G 그때G “해탈을G 얻었다U”라고G 말한다UG
                                                G
                                          “
                                                 얻었다
                                   는
                                                       U
                                           해탈을
                                                        라고
                                                            말한다
                                                           G
                                      그
                                                       ”
                          존재하게
                          존재하게G 되는G 그때G “해탈을G 얻었다U”라고G 말한다UG
                                                                  G
                                        때
                                          G
                                                                  U
                                     G
                                  되
                                 G

           22)  카나다의 티베트어를 글자 그래도 번역하면 ‘다른 사람이 흘린 곡식 알을 주워 먹으며 수행하는 사      Y^
                       G G
                      YUG 상키야O수론파PG GG 상키야O수론파P는G 성자G 카필라Orˆ—“ˆSG སེར་སྐྱ། P를G 따르는G
              람’이라는 의미다.  G G                                               Y^ Y^
                        YUG 상키야O수론파PG GG 상키야O수론파P는G 성자G 카필라Orˆ—“ˆSG སེར་སྐྱ། P를G 따르는G
                       YUG 상키야O수론파PG GG 상키야O수론파P는G 성자G 카필라Orˆ—“ˆSG སེར་སྐྱ། P를G 따르는G
                     사람들이G 형성한G 학파이다UG 일체사물Oཤེས་བྱ་ཐམས་ཅད།P은G Y\개의G 숫자로G 결정된다고G
                                                                               Y^
           23)  가우따마의 티베트어를 글자 그대로 옮기면 ‘눈으로 발만 보며 계율을 엄격히 지키고 다른 움직임이          Y^

                          Y
                          YUG 상키야O수론파PG GG 상키야O수론파P는G 성자G 카필라Orˆ—“ˆSG སེར་སྐྱ། P를G 따르는GUG 상키야O수론파PG GG 상키야O수론파P는G 성자G 카필라Orˆ—“ˆSG སེར་སྐྱ། P를G 따르는G
              없는 수행자’라는 뜻이다.
                      사람들이G 형성한G 학파이다UG 일체사물Oཤེས་བྱ་ཐམས་ཅད།P은G Y\개의G 숫자로G 결정된다고G
                       사람들이G 형성한G 학파이다UG 일체사물Oཤེས་བྱ་ཐམས་ཅད།P은G Y\개의G 숫자로G 결정된다고G
                     주장한다UG 자아O푸루샤SG wœ™œṣˆSG སྐྱེས་བུ།PSG 자성自性SG 대大SG 오만傲慢SG 오유五唯Oདེ་    G
                                               UG
                                                        O
                                 G
                                                                                 결정
                                                                                    된다고
                                     한
                                                                                G
                                                                          숫자로
                          사람들이G 형성한G 학파이다UG 일체사물Oཤེས་བྱ་ཐམས་ཅད།P은G Y\개의G 숫자로G 결정된다고G
                                  형성
                                                                P
                                                                    Y\
                                                                   G
                                                      물
                                                 일체사
                                                                 은
                          사람들이
                                                                      개의
                                                                         G
                                        학파이다
                                       G
                                                               ད།
                                                         ཤེས་བྱ་ཐ
                                                            མས་ཅ
           24)  두 학파는 교리의 유사성으로 인해 니야야·바이쉐시카학파로 불린다. 이태승 지음, 『인도철학산

                                                           Y_
                     ཙམ་ལྔ།PSGXX근根Oདབང་བོ་བཅུ་གཅིགPSG 오대종五大種Oའབྱུང་བ་ལྔ། PG 등G Y\개O혹은G Y\제諦PG 이다UG
                      주장한다UG 자아O푸루샤SG wœ™œṣˆSG སྐྱེས་བུ།PSG 자성自性SG 대大SG 오만傲慢SG 오유五唯Oདེ་
                       주장한다UG 자아O푸루샤SG wœ™œṣˆSG སྐྱེས་བུ།PSG 자성自性SG 대大SG 오만傲慢SG 오유五唯Oདེ་
              책』, 서울:정우서적, 2007, p.122. 자 아 O 푸루 샤 SG  wœ ™œ ṣ ˆ SG  སྐྱེ ས་ བུ། P SG  자성自 性 SG  대大 SG  오만 傲慢 SG  오유五 唯 O དེ་
                          주장한다
                                 UG
                          주장한다UG 자아O푸루샤SG wœ™œṣˆSG སྐྱེས་བུ།PSG 자성自性SG 대大SG 오만傲慢SG 오유五唯Oདེ་
                                                            Y_
                                                             Y_
                      ཙམ་ལྔ།PSGXX근根Oདབང་བོ་བཅུ་གཅིགPSG 오대종五大種Oའབྱུང་བ་ལྔ། PG 등G Y\개O혹은G Y\제諦PG 이다UG
                       ཙམ་ལྔ།PSGXX근根Oདབང་བོ་བཅུ་གཅིགPSG 오대종五大種Oའབྱུང་བ་ལྔ། PG 등G Y\개O혹은G Y\제諦PG 이다UG

                                                               Y_

                                                               Y_
           25)  바이쉐시카 학파의 ‘실재’에 관한 일곱 가지 범주는 실체, 성질, 행위, 보편성(일반성), 특수성(개별성),
                          ཙམ་ལྔ།PSGXX근根Oདབང་བོ་བཅུ་གཅིགPSG 오대종五大種Oའབྱུང་བ་ལྔ། PG 등G Y\개O혹은G Y\제諦PG 이다UGPG 등G Y\개O혹은G Y\제諦PG 이다UG
                          ཙམ་ལྔ།PSGXX근根Oདབང་བོ་བཅུ་གཅིགPSG 오대종五大種Oའབྱུང་བ་ལྔ།
                     Y\
                       G 바이쉐시카G 학파의G ‘실재’에G 관한G 일곱G 가지G 범주는G 실체SG 성질SG 행위SG 보편성O일반성PSG
              내재적 관계, 부재 등이다. 이 가운데 ‘아홉 개의 실체가 있는 물질’, 즉 실체는 흙, 물, 불, 바람, 에














































                     특수성O개별성PSG 내재적G 관계SG 부재G 등이다UG 이G 가운데G ‘아홉G 개의G 실체가G 있는G 물질’SG 즉G
                       Y\
              테르, 시간, 공간, 자아, 마음 등이다. S.C.Chatterjee 등 지음·김형준 옮김, 『학파로 보는 인도 사
                      Y\
                        G 바이쉐시카G 학파의G ‘실재’에G 관한G 일곱G 가지G 범주는G 실체SG 성질SG 행위SG 보편성O일반성PSG
                       G 바이쉐시카G 학파의G ‘실재’에G 관한G 일곱G 가지G 범주는G 실체SG 성질SG 행위SG 보편성O일반성PSG
                          Y\
                          Y\
                           G 바이쉐시카G 학파의G ‘실재’에G 관한G 일곱G 가지G 범주는G 실체SG 성질SG 행위SG 보편성O일반성PSG
                                    학파의
                            바이쉐시카
                                   G
                           G
                     실체는G 흙SG 물SG 불SG 바람SG 에테르SG 시간SG 공간SG 자아SG 마음G 등이다UG zUjUjˆ››Œ™‘ŒŒG 등G 지음ㆍ
              상』, 서울:예문서원, 1999, pp.234-235.  G  ‘ 실재 ’ 에 G  관한 G  일곱 G  가지 G  범주는 G  실체 SG  성질 SG  행위 SG  보편성 O 일반 성 PSG
                       특수성O개별성PSG 내재적G 관계SG 부재G 등이다UG 이G 가운데G ‘아홉G 개의G 실체가G 있는G 물질’SG 즉G
                      특수성O개별성PSG 내재적G 관계SG 부재G 등이다UG 이G 가운데G ‘아홉G 개의G 실체가G 있는G 물질’SG 즉G
                                                                      개의
                               개별성
                                                                  아홉
                                          G
                                                                     G
                                           관계
                                                           G
                                                            가운데
                              O
                          특수성O개별성PSG 내재적G 관계SG 부재G 등이다UG 이G 가운데G ‘아홉G 개의G 실체가G 있는G 물질’SG 즉G
                                                        UG
                          특수성
                                                   등이다
                                                   G
                                              SG
                                                         이
                                                                 ‘
                                               부재
                                                                G
                                      내재적
                                   PSG

                     김형준G 옮김SG 『학파로G 보는G 인도G 사상』SG 서울a예문서원SGX```SG——UYZ[~YZ\UG
           26)  육구의六句義에서 구의句義는 범주로 번역하기도 한다. 원어는 파다르타padārthas이며 ‘단어에 의해 지 G  실체가 G  있는 G  물질 ’ SG  즉 G
                       실체는G 흙SG 물SG 불SG 바람SG 에테르SG 시간SG 공간SG 자아SG 마음G 등이다UG zUjUjˆ››Œ™‘ŒŒG 등G 지음ㆍ
                      실체는G 흙SG 물SG 불SG 바람SG 에테르SG 시간SG 공간SG 자아SG 마음G 등이다UG zUjUjˆ››Œ™‘ŒŒG 등G 지음ㆍ
                                                      공간
                                                         SG
                                                                        z
                                                SG
                                  물
                              G
                                                    SG
                                       바람
                                                 시간
                                   SG
                                                                 G
                                                                         UjUj
                                    불
                                                                      UG
                                                                  등이다
                                                              마음
                          실체는
                                                          자아
                          실체는G 흙SG 물SG 불SG 바람SG 에테르SG 시간SG 공간SG 자아SG 마음G 등이다UG zUjUjˆ››Œ™‘ŒŒG 등G 지음ㆍ
                                                             SG
                                      SG
                                          SG
                                SG
                                           에테르
                               흙
              시된 대상’이라는 의미다. 파다르타는 지식의 모든 대상 또는 모든 실재를 뜻한다. 바시쉐시카 학파        ˆ› › Œ™ ‘ŒŒ G 등 G 지음ㆍ
                     Y]
                       G 육구의六句義에서G 구의句義는G 범주로G 번역하기도G 한다UG 원어는G 파다르타(padārthas)이
                      김형준G 옮김SG 『학파로G 보는G 인도G 사상』SG 서울a예문서원SGX```SG——UYZ[~YZ\UG
                       김형준G 옮김SG 『학파로G 보는G 인도G 사상』SG 서울a예문서원SGX```SG——UYZ[~YZ\UG
                                                  사상
                                                      SG
                                                                         YZ
                                                                       —
                                                       서울
                          김형준
                                                          a
                                                 G
                          김형준G 옮김SG 『학파로G 보는G 인도G 사상』SG 서울a예문서원SGX```SG——UYZ[~YZ\UG
                                         G
                                   『
                                                           예문서원
                                                                    ``S
                                             G
                                                                   `
                                  SG
                                                                      G
                                                                        U
                              G
                                              인도
                                                                  GX
                                                                 S
                               옮김
                                     학파로
                                                     』
                                          보는
                                                                       —
              에 따르면 단어에 의해 지시된 모든 대상은 크게 존재와 비존재의 두 계열로 구분할 수 있다. 존재      [ ~ Y Z\U G
                     며G ‘단어에G 의해G 지시된G 대상’이라는G 의미다UG 파다르타는G 지식의G 모든G 대상G 또는G 모든G 실재
                       Y]
                      Y]
                        G 육구의六句義에서G 구의句義는G 범주로G 번역하기도G 한다UG 원어는G 파다르타(padārthas)이
                        G 육구의六句義에서G 구의句義는G 범주로G 번역하기도G 한다UG 원어는G 파다르타(padārthas)이
                          Y]
                          Y]
                                                      G
                                                                       는
              는 현존하는 물질적 사물, 마음, 자아 등과 같은 모든 긍정적 실재를 나타낸다. 비존재는 사물의 부     파다르타  (padārt has) 이
                           G 육구의六句義에서G 구의句義는G 범주로G 번역하기도G 한다UG 원어는G 파다르타(padārthas)이
                                                                    원어
                                                                   UG
                                                       번
                                                         역하기도
                                                                         G
                                                                한다
                                                               G
                                          의句義는
                            육구의六句義에서
                                                 G
                                                 범주로
                                         구
                           G
                                        G
                     를G 뜻한다UG 바시쉐시카G 학파에G 따르면G 단어에G 의해G 지시된G 모든G 대상은G 크게G 존재와G 비존
                       며G ‘단어에G 의해G 지시된G 대상’이라는G 의미다UG 파다르타는G 지식의G 모든G 대상G 또는G 모든G 실재
                      며G ‘단어에G 의해G 지시된G 대상’이라는G 의미다UG 파다르타는G 지식의G 모든G 대상G 또는G 모든G 실재
                                     지시된
                                                                       모든
                            ‘
                                              이라는
                                                                  지식의
                     재의G 두G 계열로G 구분할G 수G 있다UG 존재는G 현존하는G 물질적G 사물SG 마음SG 자아G 등과G 같은G 모든G 실재며G
                                                                 G
                                          G
                            단어에
                                     G
                                 G
                                  의해
                                                   G
                                                                      G
                          며G ‘단어에G 의해G 지시된G 대상’이라는G 의미다UG 파다르타는G 지식의G 모든G 대상G 또는G 모든G실재
                                              ’
                                           대상
                                                        UG
                                                    의미다
                                                         파다르타는
              재와 같은 모든 부정적인 사실을 나타낸다. 긍정적 실재에는 실체, 성질, 행위, 보편성, 특수성, 내    G 대상 G 또는 G 모든 G
                      를G 뜻한다UG 바시쉐시카G 학파에G 따르면G 단어에G 의해G 지시된G 모든G 대상은G 크게G 존재와G 비존
                       를G 뜻한다UG 바시쉐시카G 학파에G 따르면G 단어에G 의해G 지시된G 모든G 대상은G 크게G 존재와G 비존
                                                              G
                                                                   G
                            뜻한다
                                                              지시된
                                                    G
                                                따르면
                                                          G
                                         G
                                                                       G
                                                           의해
                                        카
                          를G 뜻한다UG 바시쉐시카G 학파에G 따르면G 단어에G 의해G 지시된G 모든G 대상은G 크게G 존재와G 비존
                                                                    모든
                                          학파에
                                  바시쉐시
                     긍정적G 실재를G 나타낸다UG 비존재는G 사물의G 부재와G 같은G 모든G 부정적인G 사실을G 나타낸다UG 비존를G
                                               G
                                UG
                                                       어에
                                                                        대상은
                                                     단
              재성의 여섯 종류가 있는 데, 후기 바이쉐시카 학파는 여기에다 모든 부정적 사실을 나타내는 부재         G  크게 G 존재 와 G
                      재의G 두G 계열로G 구분할G 수G 있다UG 존재는G 현존하는G 물질적G 사물SG 마음SG 자아G 등과G 같은G 모든G
                       재의G 두G 계열로G 구분할G 수G 있다UG 존재는G 현존하는G 물질적G 사물SG 마음SG 자아G 등과G 같은G 모든G
                             두
                                                                  사물
                                          G
                                        할
                                                                       마음
                                                                      SG
                                     구분
                                    G
                                          수
                                                UG
                                                             물질적
                                                            G
                                                                  G
                                계열로
                     긍정적G 실재에는G 실체SG 성질SG 행위SG 보편성SG 특수성SG 내재성의G 여섯G 종류가G 있는G 데SG 후기G 모든G재의G
                                             있다
                               G
                          재의G 두G 계열로G 구분할G 수G 있다UG 존재는G 현존하는G 물질적G 사물SG 마음SG 자아G 등과G 같은G모든G
                                                      현존하는
                                                 존재는
                                                     G
                                            G
              를 일곱 번째 파다르타로 추가한다. S.C.Chatterjee 등 지음·김형준 옮김, 『학파로 보는 인도 사 SG 자아 G 등과 G 같은 G
                      긍정적G 실재를G 나타낸다UG 비존재는G 사물의G 부재와G 같은G 모든G 부정적인G 사실을G 나타낸다UG
                       긍정적G 실재를G 나타낸다UG 비존재는G 사물의G 부재와G 같은G 모든G 부정적인G 사실을G 나타낸다UG
                          긍정적
                          긍정적G 실재를G 나타낸다UG 비존재는G 사물의G 부재와G 같은G 모든G 부정적인G 사실을G 나타낸다UG
                               실재를
                              G
              상』, 서울:예문서원, 1999, p.234.  G  나타 낸다 UG  비존재는 G  사물 의 G  부재와 G  같은 G  모든 G  부정적인 G  사 실을 G  나 타낸다 UG
                     바이쉐시카G 학파는G 여기에다G 모든G 부정적G 사실을G 나타내는G 부재를G 일곱G 번째G 파다르타로G
                       긍정적G 실재에는G 실체SG 성질SG 행위SG 보편성SG 특수성SG 내재성의G 여섯G 종류가G 있는G 데SG 후기G
                      긍정적G 실재에는G 실체SG 성질SG 행위SG 보편성SG 특수성SG 내재성의G 여섯G 종류가G 있는G 데SG 후기G
                     추가한다UG zUjUjˆ››Œ™‘ŒŒG 등G 지음ㆍ김형준G 옮김SG 『학파로G 보는G 인도G 사상』SG 서울a예문서 후기G긍정적G  실재에는 G  실체 SG  성질 SG  행위 SG  보편성 SG  특수성 SG  내재성의 G  여섯 G  종류가 G  있는 G  데 SG
                          긍정적G 실재에는G 실체SG 성질SG 행위SG 보편성SG 특수성SG 내재성의G 여섯G 종류가G 있는G 데SG 후기G
                      바이쉐시카G 학파는G 여기에다G 모든G 부정적G 사실을G 나타내는G 부재를G 일곱G 번째G 파다르타로G
                       바이쉐시카G 학파는G 여기에다G 모든G 부정적G 사실을G 나타내는G 부재를G 일곱G 번째G 파다르타로G
                          바이쉐시카G
                     원SGX```SG—UYZ[UG 학파는G 여기에다G 모든G 부정적G 사실을G 나타내는G 부재를G 일곱G 번째G 파다르타로G바이쉐시카G 학파는G 여기에다G 모든G 부정적G 사실을G 나타내는G 부재를G 일곱G 번째G 파다르타로G
                       추가한다UG zUjUjˆ››Œ™‘ŒŒG 등G 지음ㆍ김형준G 옮김SG 『학파로G 보는G 인도G 사상』SG 서울a예문서
                      추가한다UG zUjUjˆ››Œ™‘ŒŒG 등G 지음ㆍ김형준G 옮김SG 『학파로G 보는G 인도G 사상』SG 서울a예문서
                          추가한다UG zUjUjˆ››Œ™‘ŒŒG 등G 지음ㆍ김형준G 옮김SG 『학파로G 보는G 인도G 사상』SG 서울a예문서
                     Y^   추가한다  UG  z UjUj ˆ› › Œ™ ‘ŒŒ G  등 G  지음ㆍ김형준 G  옮김 SG 『 학파로 G 보는 G  인도 G 사상 』 SG 서울 a 예 문서
                      G 티베트어G སེར་སྐྱ།에는G 여러G 가지G 의미가G 있다UG ①담황색淡黃色O색깔PbG ②‘스님과G 재가자’O승
                       원SGX```SG—UYZ[UG
                      원SGX```SG—UYZ[UG
           136         Y^ 원SGX```SG—UYZ[UG원SGX```SG—UYZ[UG
                      Y^
                     속僧俗P의G 합칭合稱bG ③태양bG ④비쉬누bG ⑤수론파의G 창시자G 카필라UG 여기서는G 다섯G 번째G 의
                        G 티베트어G སེར་སྐྱ།에는G 여러G 가지G 의미가G 있다UG ①담황색淡黃色O색깔PbG ②‘스님과G 재가자’O승
                       G 티베트어G སེར་སྐྱ།에는G 여러G 가지G 의미가G 있다UG ①담황색淡黃色O색깔PbG ②‘스님과G 재가자’O승
                          Y^
                          Y^
                                                G
                                     에
                                                 의미가
                                       는
                                        G
                                                     G
                            티베트어
                                                          ①담황색淡黃色
                           G
                                                         UG
                                             가지
                                            G
                                         여러
                           G 티베트어G སེར་སྐྱ།에는G 여러G 가지G 의미가G 있다UG ①담황색淡黃色O색깔PbG ②‘스님과G 재가자’O승
                                                      있다
                                  G
                                    སྐྱ།
                                  སེ
                                   ར་
                     미로G 사용됐다UGབོད་རྒྱ་ཚིག་མཛོད་ཆེན་མོ། པེ་ཅིན། མི་རིགས་དཔེ་སྐྲུན་ཁང་། ༡༩༩༣ལོ། ཤོག་ངོས་༢༩༤༨།   O 색깔 P bG  ② ‘ 스님과 G 재가 자 ’ O 승
                      속僧俗P의G 합칭合稱bG ③태양bG ④비쉬누bG ⑤수론파의G 창시자G 카필라UG 여기서는G 다섯G 번째G 의
                       속僧俗P의G 합칭合稱bG ③태양bG ④비쉬누bG ⑤수론파의G 창시자G 카필라UG 여기서는G 다섯G 번째G 의
                              P
                                                                                   G
                                                                    카필
                                             bG
                                                                       라
                                       bG
                                                       수론파의
                          속僧俗P의G 합칭合稱bG ③태양bG ④비쉬누bG ⑤수론파의G 창시자G 카필라UG 여기서는G 다섯G 번째G 의
                          속僧俗
                                                                         여기서는
                                                                                G
                                G
                                                                                    번째
                                                              G
                                                              창시자
                               의
                                                                   G
                                                     bG
                                              ④비
                                                                        UG
                                         ③태양
                                                                                다섯
                                                      ⑤
                                                  쉬누
                                 합칭合稱
                     Y_ G 티베트어의G 이G 단어에는G 두G 가지G 의미가G 있다UG ①지地SG 수水SG 화火SG 풍風SG 공空G 등G 오대  G 의
                      미로G 사용됐다UGབོད་རྒྱ་ཚིག་མཛོད་ཆེན་མོ། པེ་ཅིན། མི་རིགས་དཔེ་སྐྲུན་ཁང་། ༡༩༩༣ལོ། ཤོག་ངོས་༢༩༤༨།
                       미로G 사용됐다UGབོད་རྒྱ་ཚིག་མཛོད་ཆེན་མོ། པེ་ཅིན། མི་རིགས་དཔེ་སྐྲུན་ཁང་། ༡༩༩༣ལོ། ཤོག་ངོས་༢༩༤༨།
                          미로G 사용됐다UG
                          미로G 사용됐다UGབོད་རྒྱ་ཚིག་མཛོད་ཆེན་མོ། པེ་ཅིན། མི་རིགས་དཔེ་སྐྲུན་ཁང་། ༡༩༩༣ལོ། ཤོག་ངོས་༢༩༤༨། བོད་རྒྱ་ཚིག་མཛོད་ཆེན་མོ། པེ་ཅིན། མི་རིགས་དཔེ་སྐྲུན་ཁང་། ༡༩༩༣ལོ། ཤོག་ངོས་༢༩༤༨།
                     五大bG ②금金SG 목木SG 수水SG 화火SG 토土G 등G 오행五行UG 여기서는G 전자의G 의미로G 사용됐다UGབོད་རྒྱ་
                      Y_
                       Y_
                       G 티베트어의G 이G 단어에는G 두G 가지G 의미가G 있다UG ①지地SG 수水SG 화火SG 풍風SG 공空G 등G 오대
                        G 티베트어의G 이G 단어에는G 두G 가지G 의미가G 있다UG ①지地SG 수水SG 화火SG 풍風SG 공空G 등G 오대
                          Y_
                          Y_
                                                가지
                     ཚིག་མཛོད་ཆེན་མོ། པེ་ཅིན། མི་རིགས་དཔེ་སྐྲུན་ཁང་། ༡༩༩༣ལོ། ཤོག་ངོས་༡༩༨༢། 의미가G 있다UG ①지地SG 수水SG 화火SG 풍風SG 공空G 등G 오대G G 티베트어의G 이G 단어에는G 두G 가지G 의미가G 있다UG ①지地SG 수水SG 화火SG 풍風SG 공空G 등G 오대
                                                   G
                            티베트어의
                                               G
                                   G
                                    이
                                      G
                                             두
                                             G
                                      단어에는
                      五大bG ②금金SG 목木SG 수水SG 화火SG 토土G 등G 오행五行UG 여기서는G 전자의G 의미로G 사용됐다UGབོད་རྒྱ་
                       五大bG ②금金SG 목木SG 수水SG 화火SG 토土G 등G 오행五行UG 여기서는G 전자의G 의미로G 사용됐다UGབོད་རྒྱ་
                          五大bG ②금金SG 목木SG 수水SG 화火SG 토土G 등G 오행五行UG 여기서는G 전자의G 의미로G 사용됐다UG
                          五大bG ②금金SG 목木SG 수水SG 화火SG 토土G 등G 오행五行UG 여기서는G 전자의G 의미로G 사용됐다UGབོད་རྒྱ་བོད་རྒྱ་
                     G ཚིག་མཛོད་ཆེན་མོ། པེ་ཅིན། མི་རིགས་དཔེ་སྐྲུན་ཁང་། ༡༩༩༣ལོ། ཤོག་ངོས་༡༩༨༢།
                      ཚིག་མཛོད་ཆེན་མོ། པེ་ཅིན། མི་རིགས་དཔེ་སྐྲུན་ཁང་། ༡༩༩༣ལོ། ཤོག་ངོས་༡༩༨༢།
                                མོ།
                                 པ
                                  ེ་
                              ཆེན་
                                             །
                                           ཁང་
                                     ར
                                  ཅིན།
                                       ས
                                      ིག
                                        དཔེ་སྐྲུན་
                                       ་
                                    མི་
                           མཛོད
                                                      ༨
                                                ལོ།
                                                 ཤོག་
                          ཚིག་མཛོད་ཆེན་མོ། པེ་ཅིན། མི་རིགས་དཔེ་སྐྲུན་ཁང་། ༡༩༩༣ལོ། ཤོག་ངོས་༡༩༨༢།  །
                          ཚིག་
                                                   ངོས་
                                                     ༡༩
                                                       ༢
                                              ༩
                                              ༡
                                               ༣
                              ་
                                               ༩
                       G G                           6
                          G G                         6  6
                                                         6  6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