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7 - 고경 - 2019년 12월호 Vol. 80
P. 117

견하는 큰스님의 한가로움을 농락하는 선기를 발휘하는 장면이다.

              그런데 선가의 보디랭귀지는 표현하는 이와 받아들이는 이의 해석이
            제각각 다를 수가 있다. 또한 곡해의 순간도 있다. 법기法器가 다르면 제

            대로 된 법거량이 이루어지기 어렵다. 고봉 화상과 향곡 스님처럼 법기가
            잘 다듬어진 이들에겐 매사가 법거량이다.

              궁의 경지에 이르러야 이같이 서로 통하는 길을 가게 된다. 수십 번 궁
            지에 몰려야 빠져나갈 방도를 알아챌 수 있다는 얘기다.

              ‘서래의’는 달마가 왜 중국에 오게 되었느냐는 질문이다. 불법의 대의
            를 묻는 중국선사들의 대표적인 질문 방식이다. 이 답을 구하는 것이 출

            가자들의 사명이자 이 답을 들려줘야 하는 것이 스승의 도리다. 하지만
            이 공안은 그 답을 들려줄 수 없게끔 난해한 장면을 설정해 놓고 있다. 입

            을 열면 떨어져 죽는다. 그렇다고 서래의를 묻는 이에게 답을 안 해 줄 수
            도 없다. ‘보디랭귀지’는 이럴 때 필요한 것이다.

              높은 나무 꼭대기에서 가지만 입에 물고 위태롭게 지내는 사람에게 명
            예와 권력이 무슨 소용이 있으며, 고관대실과 절세미인이 필요할 일이 뭐

            있을 것인가. 당장 발등에 떨어진 불을 꺼야 궁지에서 벗어날 수 있다. 즉
            일대 본분사를 해결해야 하는 일이 무엇보다 시급하다. 그러기 위해선 나

            자신을 더욱 더 궁지로 몰아넣어야 한다. 그래야 통할 수 있는 길을 만들
            어낼 수 있다. 이 공안은 그것을 가르치고 있다. 말하자면 궁즉통극즉반

            窮卽通極卽反이다. 궁하면 통하고 극에 달하면 반전이 기다리는 법이다.
              옛날 어느 왕이 두 마리의 매를 선물 받았다. 그 중 한 마리는 커서도

            날지 못하고 늘 나뭇가지에 앉아 있었다. 왕은 매를 날게 하기 위해 온갖
            방법을 동원해 보았지만 소용이 없었다. 왕은 매를 키우는 한 농부에게

            한 달 내 매가 날 수 있도록 하라며 숙제를 냈다. 매가 날지 못할 경우 엄



                                                                        115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