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2 - 고경 - 2020년 1월호 Vol. 81
P. 112

종류입니다. 이 근본번뇌에서 파생한 부차적인 번뇌를 수번뇌隨煩惱라고

           합니다. 이 수번뇌는 다시 소수번뇌·중수번뇌·대수번뇌로 나눕니다.
           먼저 소수번뇌小隨煩惱는 분·한·복·뇌·질·간·광·첨·해·교의 11

           종류이며, 중수번뇌中隨煩惱는 무참·무괴의 2종류, 대수번뇌大隨煩惱는
           도거·혼침·불신·해태·방일·실념·산란·부정지의 8종류입니다.

             마지막으로 부정 심소란 선인지 불선不善인지 정해지지[定] 않았다
           [不]는 의미이며 후회·수면·심구·사찰의 4종류입니다.
                                                      1)
             이 51개의 명칭은 『유식삼십송』에서 인용한 것 입니다. 51가지 심소
           중에서 오변행은 아뢰야식을 설명할 때 이미 했기 때문에 별경부터 설명

           하겠습니다. 별경의 첫 번째는 욕심소입니다.



             별경심소의 첫 번째는 욕(欲, chanda)이다



             욕심소란 ‘좋아하는 대상을 희망하는 마음작용’이라고 정의할 수 있
           습니다. 그래서 저는 욕을 ‘희망’·‘바람’·‘의욕’이라고 번역합니다. 제

           가 욕심소를 왜 이렇게 정의했는지, 그 근거를 제시하겠습니다. 우선 세
           친 보살의 저작인 『대승오온론』에서는 욕을 “바라는 것들[可愛, abhipreta-

                                         2)
           vastuṇi]에 대해 희망하는 것이다.” 라고 정의합니다. 그리고 무착 보살
           의 저작인 『대승아비달마집론』에서도 “원하든 사물들[대상, īpsite-vastuṇi],







           1)  初遍行觸等 次別境謂欲 勝解念定慧 所緣事不同(10게송)善謂信慚愧 無貪等三根 勤安不放逸 行捨及不
             害(11게송)煩惱謂貪瞋 癡慢疑惡見 隨煩惱謂忿 恨覆惱嫉慳(12게송)誑諂與害憍 無慚及無愧 掉擧與惛沈
             不信幷懈怠(13게송)放逸及失念 散亂不正知 不定謂悔眠 尋伺二各二(14게송)
           2) 謂於可愛事希望爲性.



           110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