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0 - 고경 - 2020년 1월호 Vol. 81
P. 110

『   』 제81호 | 유식 이야기 17         지난 호까지는 심왕[전오식, 의식,

                                           말나식, 아뢰야식]의 본질적인 성질과
                                           그 부차적인 작용에 대해 기술했습

                                           니다만, 이번호부터는 마음작용[심
           마음 작용[심소] 1                     소]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별경심소[욕欲]                         심소의 정확한 명칭은 심소유법
                                           心所有法이라고 하는데, ‘마음[心王]에

                                           소유된[所有] 것[法]’이라는 의미입니
           허암 불교학자·유식
                                           다. 그래서 『유식삼십송』의 주석서인

                                           『성유식론』에서는 심소를 “항상 심
                                           왕에 의지해서 일어나고 심왕과 상

                                           응하며 심왕에 계속(繫屬, 다른 것에 매
                                           이고 구속되는 것)되기 때문에 심소라

                                           고 이름한다.”라고 주석하고 있습니
                                           다. 또한 심왕과 심소를 각각 화가

                                           [밑그림]와 화가의 제자[채색]로 비유
                                           하거나 또는 왕[심왕]과 신하[심소]로

                                           비유하여 설명하기도 합니다.
                                             그러므로 심소는 언제나 심왕이

                                           작용할 때 함께합니다. 이 심소는
             허암   유식을 연구해 박사학위를 받았         크게 나누면 6위, 즉 변행(5)·별경
             다. 저서로는 『유식삼십송과 유식불교』·        (5)·선(11)·번뇌(6)·수번뇌(20)·부
             『마음공부 첫걸음』·『범어로 반야심경을
             해설하다』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마음        정(4)입니다. 이것을 자세하게 나누
             의  비밀』·『유식불교,  유식이십론을  읽
             다』 등이 있다.                     면 51개입니다. 이것을 ‘6위 51六位



           108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