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5 - 고경 - 2020년 2월호 Vol. 82
P. 155

(유식파의) 바른 지각[量]에는 현량現量과 비량比量이 있다. 사현량(사현

                                  14)
            식四現識, mngon sum bzhi) 의 원리(原理, 교리敎理, rnam bzhag)를 인정한
            다. 자증현량rang rig mngon sum과 유가현량rnam ’byor mngon sum은 틀림

            이 없다. 유식진상파는 범부의 마음tshur mthong gi rgyud에 있는, 청색을
            본 안식眼識은 틀림이 없다고 주장한다. 유식가상파는 범부의 마음(tshur

                                                               15)
            mthong gi rgyud)에 있는 근현식(根現識, dbang po’i mngon sum) 은 틀리며,
                                                   16)
            범부 마음의 의현식(意現識, yid kyi mngon sum) 에는 틀린 부분과 틀리지
            않은 부분이 있다고 주장한다.



            Ⅱ. 수행에 관한 교의



              여기에 셋이 있다.


              1) 첫째, 수행의 대상dmigs pa은 사성제의 차별법, 즉 무상無常 등 16행
            상; ‘변함없이 존재하고[常]’, ‘하나이며[一]’, ‘자재한 나[自我]’는 없다는 거

            친(간략한) 아공(我空, 인무아);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실체rang rkya thub pa’i
            rdzas yod’는 없다는 미세한(정밀한) 아공我空; 색과 색을 인지하는 바른 지








            14)  근현식(根現識, dbang mngon), 의현식(意現識, yid mngon), 자증현식(自證現識, rang rig mngon sum), 유가현식(瑜
              伽現識, rnal ’byor mngon sum) 등 네 가지를 말한다. 소리를 듣고 생긴 이식耳識이나 병甁을 보고 생긴 안
              식眼識 등이 근현식이며, 병을 보는 순간 생긴 안식이 사라지는 순간 출현하는 식이 의현식이며, 병
              을 보고 생긴 안식眼識이 자기 자신을 파악하고 아는 것이 자증현식이며, 병甁을 보는 순간 ‘병은 무
              상한 존재임’을 깨닫는 마음이 유가현식인데 견도  수도 위位의 근본정根本定이 유가현식에 해당된다.
            15)  소리를 들은 이식耳識, 사물을 본 안식眼識 등을 말한다.


            16)  여기에는 두 가지가 있다. ①예를 들면 병甁을 보는 순간 생긴 안식眼識이 사라짐과 동시에 생기는
              식, ②타심통他心通 같은 것이다.

                                                                        153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