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6 - 고경 - 2020년 3월호 Vol. 83
P. 126

그러나 원효는 여기에 그치지 않고 이 남북 교판에 대해 ‘만일 한쪽 견

           해에만 집착하여 한결같이 그렇다고 하면 두 설을 다 잃을 것이요, 만
           일 상대를 인정해 주어 자기 설만 고집함이 없으면 두 설을 다 얻을 것이
              4)
           다” 라고 갈파한 뒤, 5시時 5종宗으로 경전의 깊은 뜻을 판석하려는 좁은
           견해를 경계하고 있다. 그리하여 그는 『대품반야』·『법화』·『열반』·『화

           엄』 등을 다 같이 구경요의라고 보는 포괄적 입장을 취하고 있다.                   5)
             원효는 새로운 교판으로서 삼승별교와 삼승통교, 일승분교와 일승만

           교라는 4교판을 짜면서 일승분교에 여래장과 대승윤리를, 일승만교에 보
           현교로서 『화엄경』을 배대하고 있다. 그리고 그의 사상의 큰 줄기는 『기신

           론』과 『화엄경』에 뿌리를 두고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나아가 원효는 『법
           화경』의 삼승(방편) 일승(진실)설에 의거하여 “승문乘門에 의하여 4종을 약
                                                            6)
           설(略說)한다”고 말하면서 다음의 4교판을 제시하고 있다.  원효는 4교판
           에서 이승과 함께하지 못하는 것을 일승一乘이라 하고, 그 중에 보법普法

           이 나타나지 않은 것을 수분교隨分敎라 하고, 보법을 궁구하여 밝힌 것을
                                   7)
           원만교圓滿敎라고 일컫는다.  그는 삼승별교에는 아직 ‘존재의 공성法空’에
           대한 이해가 없는 『사제경』과 『연기경』 등의 아함교의를 배대한다. 그런
           뒤에 원효는 모든 존재의 공성에 대해 이해가 있는 『반야경』의 중관교의

           와 『심밀경』의 유식교의를 삼승통교에 넣었다. 그러고 나서 그는 삼승의
           상위개념으로서 일승을 분교와 만교로 나누었다.






           4) 元曉, 『涅槃經宗要』(『한불전』 제1책, p.547상).
           5) 高榮燮, 『원효, 한국사상의 새벽』, 1997; 『나는 오늘도 길을 간다』, 서울: 한길사, 2009.
           6) 表員集, 『華嚴經要決問答』 권4, 分敎義(『한불전』 1책, p.366상).
           7)  表員集, 『華嚴經要決問答』 권4, 分敎義(『한불전』 2책, p.385중); 法藏, 『華嚴經探玄記』 권1(『대정장』 35책, p.111
             상); 慧苑, 『刊定記』 권1(『속장경』 5편, 9투, 8책 상); 澄觀, 『華嚴經疏』 권2(『대정장』 35책, p.510상).



           124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