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9 - 고경 - 2020년 4월호 Vol. 84
P. 39
8. 오른발을 뒤로 내려놓으며 상보象步를 한다.
9. 몸을 왼쪽으로 돌려 좌녹보합장左鹿步合掌 한다.
이어 좌녹보합장左鹿步合掌을 5~7을 바꿔 전前과 같은 동작을 한다.
중심 잃지 않으면 건강 유지 가능
학보는 한 다리로 서서 몸의 중심을 잡는 동작으로, 흔들림 없는 안정
된 자세를 필요로 한다. 하지관절과 고관절 주위의 근육과 허리와 척추
와 관련된 근육들의 유연성을 길러주고, 이완과 수축으로 기氣와 혈류를
극대화시켜 주며, 몸의 균형을 잡아주는 동작으로 뇌기능 활성화에 좋은
기공법이다. 이와 같은 동작으로, 태극권에는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가
있다.
1)
“금계독립 자세는 심장의 화기火氣를 내려주는 동작으로 수
승화강水昇火降이 작용한다. 심장과 신장을 강화하는 기능에
도움을 주고, 넓적다리를 유연하게 하며 호르몬 분비가 원활
해지며 요통의 치료에 효과적이다.”
기공은 기운이 오르내릴 때 경락의 관계와 기화작용을 적용하는 것이
다. 양기陽氣는 맑아서 위로 오르고, 음기陰氣는 탁해서 아래로 내려간다.
음은 왼쪽에 양은 오른쪽에 그 가운데 중이 있다. 음양은 중앙으로부터
1) 「太極拳24式이 健康에 미치는 影響에 대한 小考」,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2009.
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