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4 - 고경 - 2020년 4월호 Vol. 84
P. 74

가지 등 총 51가지 마음의 작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에 별경심소는

           두 번째에 해당하는 마음의 작용을 말한다. 여기서 ‘별경別境’이란 마음이
           반응하는 별도의 경계, 특별한 대상을 말한다. 변행심소는 언제 어느 때

           나 항상 마음의 주체인 아뢰야식과 함께 작동하는 심소지만 별경심소는
           별경이라는 특정한 대상을 만났을 때만 마음(심왕)과 함께 작동한다는 것

           이 가장 큰 차이점이다.
             변행심소와 별경심소의 관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해 누구나 들고 다니

           는 스마트폰의 작동원리에 대입해 생각해 볼 수 있다. 우리는 스마트폰으
           로 문자도 보내고, 사진도 찍고, 메모도 한다. 그런 작업을 하기 위해서

           메신저 앱이나 카메라 앱을 작동시켜야 한다. 하고 싶은 작업내용에 따라
           해당 응용프로그램을 작동시키면 화면에는 자신이 실행한 앱의 작업내용

           이 고스란히 나타나고, 이용자는 스마트폰이 어떤 작업을 하고 있는지 모
           두 알 수 있다. 각각의 응용프로그램은 작업내용이 고스란히 화면에 나타

           나기 때문에 이용자들은 메신저나 카메라 등의 앱이 스마트폰을 움직이
           는 핵심요소로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스마트폰이 작동하려면 화면에 나타나는 그런 애플리케이션만
           으로는 불가능하다. 모든 스마트폰에는 운영체제OS라는 것이 기본적으

           로 작동하고 있어야 한다.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작동시키든 작동시키지
           않든 운영체제는 언제나 작동하고 있고, 배터리를 소비하며 깨어 있고,

           사용자가 요구하는 것을 즉시 실행할 준비를 하고 있다. 다만 그런 활동
           은 화면에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아무런 작동도 없는 것처럼 느

           낄 뿐이다.
             사용자는 문자를 보내기 위해 메신저를 작동시키고, 사진을 찍기 위해

           카메라를 실행시키고, 메모를 하기 위해 메모장을 실행시킨다. 그 모든



           72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