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5 - 고경 - 2020년 5월호 Vol. 85
P. 135
(2) 부수적인 [교의] 체계를 말한다. 이에 대해 누군가 “그러면 이들 중
관파와 유식파의 큰길을 티베트 지역에서도 구분한 것이 앞에서 말한 정
도인가? 이것 이외 다른 분류 체계가 있는가?”라고 묻는다. 첫 번째는 불
32)
합리하다. 티베트 지역에 [나타난] 교파 라는 말[에 대한 해석]을 여기서[이
책에서] 설명하지 않은 많은 것이 있기 때문이다. 두 번째 역시 불합리하
다. 앞에서 설명한 것[인도의 교파敎派] 이외 다른 상황[티베트 지역의 교파]을
말하면 대승大乘의 교파를 말할 수 없고, 다른 상황[인도의 교의]이 아니면
교파라는 단어를 다르게 말할 의미[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이것에 대해
조금 설명하고자 한다. 티베트에는 교파라는 말에 대해 같지 않은 많은
명칭이 있다. [소승의] 유부 18부처럼 지명地名이나 스승의 이름을 따 교파
의 이름을 붙인 것도 있고, 일부는 인도의 득도자得道者에게 다양한 가르
침을 묻고 그것을 중심으로 수행했기에 그 가르침의 명칭을 교파의 이름
으로 삼는 경우도 있으므로, 인도의 대승교파를 말하는 방식처럼 견해見
解만의 관점에서 일률적으로 교파의 이름을 짓지는 않는다.
보기를 들면, 지명地名으로 교파敎派의 이름을 붙인 예는 사꺄파와 지
33)
궁파 등 매우 많다. 스승[의 이름]을 교파의 이름으로 삼은 예는 까르마
빠 같은 것이다. 가르침의 입장에서 이름을 붙인 예는 원만파圓滿派와 수
인파手印派 같은 것이다. 그런데 지금 여기서는 견해 차이만을 분석하고
32) 티베트어 grub mtha’에는 학파學派, 교파敎派, 교파의 이론체계, 종취宗趣 등 여러 의미가 있다. 이 단
락[문장]에서는 교리체계를 뜻하는 ‘교의敎義’ 보다는 ‘교파敎派’라는 의미로 사용됐다고 보여, 교파로
번역했다.
33) ’bri gung pa. 티베트불교 까규파의 한 지파支派. 1179년 ‘지궁’이라는 지역에 지궁틸키’bri gung
mthil gyi 사원dgon pa을 건립하고 교세를 확장했기에 ‘지궁까큐파’로 불린다. Dung dkar tshig
mdzod chen mo, pe cin:krung go’i bod kyi shes rig pa dpe skrun khang, 2002, p.1556.
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