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5 - 고경 - 2020년 7월호 Vol. 87
P. 135
『 』 제87호 | ‘교의敎義’는 티베트어 grub mtha’를 번역
티베트불교 『장꺄교의론』 번역 3 | 중관파 3 한 것이다. 일본 학자들은 ‘학설강요學說綱要’
로, 중국학자들은 ‘종의宗義’로 대개 옮긴다.
종의는 ‘어떤 종파宗派의 교의敎義’라는 의미
경부행중관자속파 다. 종파宗派라는 말은 중국불교에서 주로 사
용하며 인도불교에 대해서는 통상 ‘학파學派’
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중관파·유식파라고
[티베트] 장꺄롤뻬돌제 지음 부르지 중관종·유식종이라고 말하지 않는
[한 국] 조 병 활 옮김
다. 티베트불교 교의론은 인도의 설일체유
부·경량부·유식파·중관파 등 4대 학파의
교의체계를 설명하고 있기에 종의 보다는 ‘교
의’라는 말이 더 적절하다. 그래서 역자譯
者는 grub mtha’를 ‘교의’로 옮긴다. grub
mtha’에는 학파學派, 교파敎派, 종취宗趣, 교
의敎義 등 다양한 의미가 있다. ‘어떤 학파나
교파의 확정된 학설學說’이라는 뜻을 가진 산
스끄리트어 siddhānta[한역漢譯은 실단悉檀 혹은
실단다悉檀多]를 티베트어로 옮긴 말이다. grub
mtha’를 글자 그대로 번역하면 성취grub의 극
한mtha’이다. 교리와 경전 그리고 불교 이론에
근거해 확립한 자기 교파의 주장이 이 보다
더 뛰어넘을 수 없는 정도에 이르렀다는 것,
그래서 자기 교파가 성취한 이론의 극한極
限이자, 다른 교리 앞에서도 결코 포기할 수
없는 확립된 ‘교의’가 grub mtha’다. 불교와
외도의 각 교파가 정립한 이론체계, 즉 견見·
조병활 성철사상연구원장.
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