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6 - 고경 - 2020년 7월호 Vol. 87
P. 136

수修·과果에 대한 견해가 grub mtha’다. 번역에 사용된 『장꺄교의론』의 저본은 Grub mtha’
           thub bstan lhun po’i mdzes rgyan, pe cin:krung go’i bod kyi shes rig dpe skrun khang,

           1989이다. ‘중관파 부분’ 가운데 극히 일부만 영어와 중국어로 번역되어 있다. 한편, 티베
           트어 표기법은 ‘와일리 시스템’을 따랐고 책 제목이나 인물의 경우 첫 음절의 주요 발음을
           대문자로 표기했다.




             중관자속파[자립파]의 체계를 설명함에 [1]정의, [2]분류, [3]주장 등 세 가

           지가 있다.   1)

                                                    3)
                                  2)
             [1] 정의. 『감로장甘露藏』 에 “자속自續[의 의미] 은 자주自主와 주권主權”
           이라고 말한 것처럼, 자속과 자주自主 그리고 자성自性[본성] 등의 의미는
           같다. 『근본중송(중론)』 제13품을 해설한 『반야등론般若燈論』에서 청변은

           “지금 비판에 답변하고 자주적으로 비량比量하는 힘으로 모든 행위의 방

           식에서 무자성無自性을 드러내기 위해 제13품을 짓는다.”고 밝혔다. 따라서
           대론자[논적論敵]가 승인하는 것과 관계없이 시설처施設處[가립假立기반, 명명
           처命名處] 의 견지에서, 외경外境 의 공성空性 의 역량으로 입론자와 대론
                  4)
                                                 6)
                                      5)





           1)  Grub mtha’ thub bstan lhun po’i mdzes rgyan, pe cin:krung go’i bod kyi shes rig dpe skrun
             khang, 1989, p.224.
           2)  ‘하나의 의미에 여러 이름’[一義多名]을 붙이는 방식을 상세하게 설명한 사조학辭藻學 사전. 인도학자 치

             메셍게’chi med seng ge가 지었다.

           3)  [ ]는 원문에는 없으나 이해를 돕기 위해 넣은 것을 나타낸다. 이하 동일.

           4)  gdags gzhi. “보특가라의 시설처는 오온이다.”고 말할 때 오온은 gdags gzhi, 보특가라는 ming[이름]
             이다.

           5)  don. 티베트어 don에는 몇 가지 의미가 있다. ①일, 사건; ②의미, 함의含意, 본의本意; ③실제, 정황情
             況, 진의眞意; ④외경外境, 외계外界(내계의 반대말), 물질세계(정신세계의 반대말); ⑤내장內臟(복부 내부기관); ⑥70
             자리 숫자를 연결하는 연결사(75라고 할 때 bdun don lnga라고 티베트 사람들은 말한다, 혹은 don lnga라고 말해도 숫자
             75를 의미한다). 여기서는 ④번의 의미로 쓰였다. don이라고 무조건 다 ‘의미意味’를 뜻하지는 않는다.
           6)  sdod lugs.

           134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