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9 - 고경 - 2020년 10월호 Vol. 90
P. 149
세계로 파악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베르그송 철학과 유식 불
교가 실제로 얼마나 일치하는가 하는 점이 아니라, 왜 근대 사상가들이 억
지로라도 두 사상의 일치점을 찾으려고 노력했을까 하는 점이다. 방법론에
서도 마찬가지이다. 양수명은 학문적 방법론에서 베르그송의 직관과 유식
불교의 분석적, 과학적 방법론이 상반된다고 보았다. 그 대신 그는 유식 불
교의 인식론에 베르그송의 직관을 보충했을 때 보다 완정한 인식 체계가
완성된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
이와 같은 해석은 무슨 의미를 가지는가? 중국 근대 지식인들이 수많은
서양 철학자들 중 본류에서 벗어나 있는 변방의 베르그송 철학을 선택한
의도와 연관하여 설명해볼 수 있다. 진화론이 시대적 사상이기는 했으나,
베르그송의 생명주의가 서양 철학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기는 어렵다.
이는 베르그송 철학이 변화를 중시하고 생기론적 세계관을 가진 점 등이
중국의 전통철학이 가진 생명의 우주관을 인정해줄 수 있는 묘안으로 여
겨졌기 때문일 것이다.
유식학자들 역시 의식의 연속적인 흐름을 말하는 베르그송 철학이 전
통철학인 유식 불교의 타당성을 인정해줄 좋은 수단이라고 여겼던 것이
다. 서양 세력의 충격 하에서 유식 불교를 빌어 서학에 대응하는 것이 당
시 중국학자들의 바람이었다. 따라서 베르그송 철학과 유식 불교 간의 중
요하지 않은 몇 가지 부수적인 불일치는 눈감아 넘길 수 있었다. 이것이
중국 근대시기 유식 불교와 베르그송 철학의 만남이 가지는 의미라고 할
수 있다.
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