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5 - 고경 - 2020년 10월호 Vol. 90
P. 145

자료,  감각  소여(感覺所與,  Sensedata)
            라는 것이다. 예컨대 차를 마실 때 느
            끼는 차 맛이나 책상 위 흰 천을 볼 때

            아는 흰 색이 모두 현량이다. 이렇게

            감각할 때는 무엇이 차 맛이고 흰 색
            인지 전혀 모르며, 단지 미각과 시각
            에 의해 획득한 차 맛, 또는 흰 색의

            감각이 있을 뿐 차 맛, 또는 흰 색에

            함축된 의미는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현량은 단순히 감각 자료만
            얻을 뿐 그 함축된 의미나 추상적 개
                                              사진 2. 1980년의 양수명.
            념을 얻을 수 없으므로, ‘체體를 얻지

            만 의義를 얻지 못한다’고 한다. 유식에서는 이를 ‘무분별’, 또는 ‘자성분별’
            이라고 구분한다. 차 맛을 느끼거나 흰색임을 아는 것은 ‘자성분별’이라고
            하고, 감각할 뿐 그것을 전혀 모르면 ‘무분별’이라고 한다. 그런데 직관의

            경우에는 당연히 차 맛을 느끼거나 희다는 뜻을 가지게 되므로, 직관과 현

            량이 다르다는 것이다.
              비량比量 역시 직관과 일치한다고 보기 어렵다. “직관으로 얻어지는 내
            용은 ‘본능으로 얻어지는 것’이어서 이러한 뜻을 얻으면 원만 구족하여 조

            금도 부족함이 없다. 직관은 유식학에서 인정할 수 없는 것이다. 베르그송

            의 ‘지속’, ‘유동’, ‘진아’와 같은 것들이 모두 유식학에서 인정할 수 없는 것
            이다. 유식학은 현량과 비량만 승인할 뿐이다. 유식학은 베르그송이 극력
            배척하는 이지의 방법, 과학자들이 쓰는 방법과 다르지 않은 방법을 쓴다.”

            양수명은 비량이 오늘날 말하는 이지理智로, 심리적인 면에서 인식을 구성



                                                                        143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