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2 - 고경 - 2020년 11월호 Vol. 91
P. 142

『   』 제91호 |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은  동아시
              근대불교학의 성립과 전개 | 중국 11
                                           아 불교에서 가장 중요한 불교 문헌
                                           중 하나이다. 동아시아 불교의 공통

                                           적인 사상적 토대를 이루고, 다른 지

                                           역과 구별되는 사상적 특색을 제공
           성적性寂                            한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 특색

           성각性覺                            은 물론 『대승기신론』이 제기한 진여

           논쟁                              연기眞如緣起관이다.



                                             『대승기신론』의 특징
           김제란 철학박사·고려대 강의교수

                                             진여연기관은  동아시아  불교만의

                                           전형적인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인
                                           도에서 유식을 중심으로 발전되었던
                                           불교 사상은 중국에 들어온 이후에

                                           는 『대승기신론』으로 발전하였고, 이

                                           러한 바탕 위에서 진심眞心을 중심으
                                           로 한 또 다른 체계를 완성하였던 것
                                           이다. 『대승기신론』의 ‘한 마음에 열

                                           린 두 개의 문’[一心開二門]은 바로 진

             김제란   철학박사. 현재 고려대 강의교        여의  불변不變의  측면과  수연隨緣의
             수 및 조계종 불학연구소 전문연구원. 고
                                           측면을 융합시킨 것이다. 그리고 여기
             려대 철학과, 지곡서당 한문연수과정 수
             료,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연구교수 역
                                           에서부터 단순한 ‘공空’뿐 아니라 ‘묘
             임.  『웅십력  철학사상연구』,  『신유식론』
             등 다수의 저서 및 번역서가 있다.           유妙有’를 강조하는 중국불교가 발전



           140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