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5 - 고경 - 2021년 1월호 Vol. 93
P. 165

지本性良知, 또는 자성청정심이 나타난다. 『대승기
            신론』에서 긍정하는 ‘여래장 자성청정심’과 맹자의
            ‘본심’, 양명의 ‘양지良知’가 모두 여기에 해당한다.

            중국 전통철학은 인간에게 반야지가 있고 자성청

            정심이 있음을 긍정하고, 현상과 물 자체[自在之物]
            을 나누는 것을 부정한다. 현상이 바로 자재지물

            이고, 본체가 바로 현상, 즉 체가 바로 용이기[체용
            불이] 때문이다. 『대승기신론』의 ‘일심개이문’은 현상

            계와 본체계를 파악하는 중요한 인식틀이다. 웅십
            력은 『대승기신론』의 이러한 형식을 그대로 수용하
                                                           웅십력 지음, 『原儒』.
            여 성지와 양지 개념을 설정하고, 자신의 체용불
                                                           上海古籍出版社, 2019.
            이 철학을 전개했다고 할 수 있다.



              서양 제국주의 비판과 현실 긍정



              실제로 웅십력의 신유식론은 『대승기신론』에 근

            거한 진상심 사상에 가깝다. 당시 태허太虛는 웅십
            력의 신유식론이 진여종眞如宗에서 벗어나지 않는
            다고 하였고, 인순印順도 웅십력 사상이 ‘진상유심

            론眞常唯心論’에 가깝다고 판단하였다. 여징은 “웅십

            력 그대의 논의는 완전히 ‘성각性覺’에서 나온 학설
            로, 중국의 모든 위경僞經, 위론僞論과 한 콧구멍에
                                                            임현규 등 옮김, 『원유原儒』.
            서 나온 숨이다.”라고 하여, 웅십력의 신유식론이                     세창출판사, 2020.

            중국의 위서와 같은 맥락에 속한다고 비판하였다.



                                                                        163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