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9 - 고경 - 2021년 1월호 Vol. 93
P. 29

【평석】  무심도인無心道人의  무애자             ✽ 그릇되고 삿된 마음이 없는 수행
            재한  대적삼매大寂三昧가  보임保               자의 걸림 없이 자유롭고 고요한 생
            任이며 장양長養이니, 이는 망멸증               활 자체가 바로 ‘보임’이며 ‘장양’이

            진妄滅證眞하여 구경각을 성취한 후               니, 이는 ‘망령되고 그릇된 것을 소

            의 생활이다.                          멸시켜 참다운 깨달음을 증득’[妄滅
                                             證眞]한, ‘최고最高 경지’[究竟覺]를 성
                                             취한 후의 생활이다.




            【강설】 일체망념을 다 끊어버린 대무심지가 대안온처이며 일체에 걸림 없
            는 대해탈경계이다. 이것이 바로 무심도인의 경계이고 평상심이다. 보임이
            란 이 무심을 보임하는 것임을 원오스님께서 분명히 밝히셨다. 무심지를

            체득한 해탈도인은 시절인연의 형편에 따라 자유자재하다. 어떻게 자유자

            재한가? 밥 먹을 자리이면 밥을 먹고 차 마실 자리이면 차를 마신다. 그럼
            우리라고 밥을 먹지 않고 차를 마시지 않는가? 겉모양은 같지만 범부는 온
            갖 망상 속에서 밥을 먹고 차를 마시며, 해탈도인은 일체망념을 떨쳐버린

            대무심지 대무사지 대해탈지 대안온처에서 밥을 먹고 차를 마시는 것이다.

            그럴 때라야 차 맛도 바로 알고 밥맛도 제대로 알 수 있다.
              죽 끓듯 하는 번뇌와 망상에 휩싸인 사람이 어떻게 차 맛을 바로 알고
            밥맛을 바로 알 수 있겠는가? 숟가락 바로 들고 밥을 바로 먹고 밥맛을 바

            로 알며, 찻잔을 바로 들고 차를 바로 마시고 차 맛을 바로 알려면 바르게

            깨쳐 대해탈을 성취해야만 한다. 그러기 전에는 밥숟가락도 바로 잡을 수
            없고 차사발도 바로 들 수 없다.
              내가 늘 하는 말이 있다. “중노릇 제대로 하는 것이 무엇인가? 밥숟가락

            제대로 잡을 줄 알고 찻잔 바로 들 줄 알면 그 사람이 공부 성취한 사람이



                                                                        27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