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1 - 고경 - 2021년 2월호 Vol. 94
P. 31

캄하다면 그것은 망상이지 실제로 깨달은 것이 아니다. 공부를 하다가 기
             특한 지견이나 경계가 나타나면 제불조사를 초월했노라고 호언장담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실제 만나보면 대부분 오매일여는 고사하고 동정일

             여動靜一如도 되지 않은 자들이다. 이런 사람들이 흔하고 흔하다. 그것이

             병인 줄 알아차리면 다행이지만 대단한 보물인 양 끝끝내 지키고 자랑한
             다면 결국 ‘어리석은 죽음’에 이르는 일밖엔 없다. 그러니 아무리 대단한 지
             견을 얻고 휘황한 경계가 나타났다 하더라도 그 경계가 꿈속에 일여한지

             깊은 잠이 들었을 때도 일여한지 반드시 점검해야만 한다. 만일 그렇지 못

             하다면 그것은 망상의 인연으로 나타난 경계이지 바른 깨달음이 아님을
             스스로 알아야 한다.



             【8-2】  ①담당준湛堂準이  대혜大慧        1)  ✽ ①담당문준이 대혜종고에게 말

             에게 말하였다. “고상좌杲上座여, 나             했다. “대혜 수좌여! 나의 가르침을
             의 선법禪法을 그대가 일시에 이해               그대가 전부 이해해 설법도 잘하고
             하여, 설법을 하라면 설법을 잘 하              염고, 송고, 소참, 보설 등도 잘 한

                              2)
             고 염고송고拈古頌古 나 소참보설小               다. 다만 한 가지 일이 없다(참다운
                  3)
             參普說  할 것 없이 잘 한다. 그러나            깨달음에 이르지 못했다). 깨어 뚜렷하
             일건一件 사실이 있어 실오實悟가                게 생각할 때에는 문든 화두가 똑

             아니다.  그대가  성성惺惺히  사량思            같이 들려도 잠들면 화두가 사라진
             量할 때에는 문득 선禪이 있으나 겨              다. 만약 이와 같다면 어떻게 삶과

             우 잠들었을 때에는 문득 없어진다.              죽음의 문제에 대적하겠는가?” 대
             만약에 이러할진대 어찌 생사를 당               혜가 “그것이 바로 제가 의심하는
             적當敵하리오.” 고杲가 “참으로 이것             부분입니다.”라고 대답했다.

             이 저의 의심하는 바입니다.”라고 대



                                                                          29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