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2 - 고경 - 2021년 3월호 Vol. 95
P. 102

도는 이러한 선종을 따라 일상을 실천적
                                     수행으로 삼았던 것이다.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것이 가이세키에

                                     사용되는 그릇이었다. 종래에는 붉은 칠그

                                     릇이나 금은 칠을 한 마키에 그릇을 사용
                                     하였는데 이러한 장식을 없앤 흑칠기를 사
          사진 3. 뚜레박 물항아리.            용하였다. 검은 칠기에 담긴 음식에 마음

          을 집중하게 하였다. 상차림 또한 달라졌다. 상의 다리를 잘라내고 만든 쟁

          반(오시키折敷)에 음식을 차렸다(사진 2). 음식의 가지 수도 일즙삼채로 소박하
          게 내고 공양법 또한 선종 사찰처럼 음식물을 남김없이 비우고 깨끗한 그릇
          으로 돌려주었다.

           차를 내는 다도구의 변화도 실로 엄청났다. 그 예로서 뚜레박 물항아리

          를 들 수 있다. 우물에서 물을 길어 올리는 뚜레박을 다실 안까지 들여온
          것이다. 리큐 이전 조오는 뚜레박을 다실부엌에서 사용하기는 했었다. 그
          런데 리큐는 중요한 다도구의 하나인 물항아리로서 다실 안으로 옮겨와

          사용하였던 것이다(사진 3). 종래 서원에서 청자나 청화백자 물항아리를 사

          용한 것과 비교하면 뚜레박은 천양지차의 대극적 변혁이라고 하겠다.
           다완도 중국의 천목다완에서 조선다완으로 바뀌었다. 조선의 다완은 처
          음부터 다완으로 출발한 것이 아니다. 조선의 서민들이 일상적으로 사용

          되던 사발이라 특별한 장식성을 요구하지 않았고 그러한 모습이 일본 초암

          차가 추구하는 바와 부합하였기에 일본 다인에 의해 처음으로 찻사발 즉
          다완으로 사용하게 되었던 것이다(사진  4). 이후 리큐는 자신이 추구하는

          다도에 적합한 다완을 직접 디자인하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라쿠다완楽茶
          碗이다(사진 5). 라쿠다완은 일체의 장식성을 완전히 배제한 오로지 차를



          100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