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3 - 고경 - 2021년 3월호 Vol. 95
P. 133

중심으로 현장학을 공부한 신방(神昉,
             ?-?), 지인(智仁, ?-?), 승현(僧賢, ?-?),
             순경(順璟,  ?-?)  등  신라승들이었다.

             이들은 인식론, 논리학 등 치밀한 인

             식체계에 대하여 논구한 대학자들이
             었다. 신라승들도 현장 법사의 번역
             사업에 참여하여 중요한 역할을 했던

             『유가사지론』 100권이 당나라에서 인

             출되자 신라 진덕여왕眞德女王은 당태
             종에게 이를 보내달라는 글을 올리기
             도 했다.

               아무튼 신라 불교의 초기에 이런 유

             식학의 발전이 중국과 비교하여 종교
             성을  더  띠면서  전개되었는데,  이는
             결국에 의상의 화엄사상과 경쟁·대립

             하게 된다. 당나라 장안의 서명사西明

             寺를 중심으로 한 원측의 유식학맥을
             잇는 도증道證 화상이 효소왕 원년인
             692년에 귀국하는데, 의상의 제자 승

             전勝詮 화상도 효소왕대에 귀국하면

             서 양쪽 학맥은 서로 팽팽한 세력을
             형성하였다.  유식학파는  경덕왕대에
             법상종法相宗으로 교단을 형성하기에

             이르렀지만, 왕실의 강력한 후원을 받                  사진 6. 안광석 서書, 시示 표훈 진정.



                                                                         131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