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4 - 고경 - 2021년 3월호 Vol. 95
P. 134

고 있는 화엄학파와의 경쟁에서는 밀려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약화되었다.  법상종의  전개를  보면,  원측-도증-대현(大賢,
                     ?-?)으로 이어져 미륵불과 아미타불을 모시는 대현계와 원광

                     (圓光, 555-638)-진표(眞表, ?-?)로 이어져 미륵불과 지장보살

                     을 모시는 진표계로 분화되었고, 진표계는 헌덕왕의 왕자 심
                     지(心地, ?-?) 화상이 이어 받아 동화사桐華寺를 중심으로 전
                     개되어 갔다. 고려시대에도 법상종과 화엄종이 고려불교의

          사진 7. 안광석,   양대 축을 형성했을 정도이니 그 생명력은 여전했다.
          ‘화엄연기’.
                       아무튼 불교가 보다 고도의 철학체계를 갖춘 것이 되기 위
          해서는 이런 법상종의 유식학과 인식방법론을 중심으로 확대되어 나갔어
          야 하지 않는가 하는 생각이 든다. 그랬으면 현대에 이르기까지 지식과 과

          학의 발전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을 뿐 아니라 나중에 등장하는 격물치지格

          物致知를 요체로 하는 성리학과도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발달하였을 것
          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이는 매우 어려운 철학체계이고 더구나 한자를
          해득할 수 없는 대부분의 일반 사람들이 받아들이기는 어려웠다고 보인

          다. 더구나 종교의 힘을 빌려 큰 바람을 일으켜 통일신라를 그야말로 통일

          된 하나의 왕국으로 새로 세우는 데는 화엄사상을 수용하여 한 바탕 바
          람을 일으키는 것이 더 쉽고 필요했을 것이라고 보인다. 현실을 초월한 별
          다른 세상이 존재하는 것 같으면서도 현실을 지극히 긍정하게 만들게 하

          는 세계도 있었으니, 인식과 존재에 대한 어려운 논의를 전개하는 것보

          다는 훨씬 받아들이기도 쉽고 재미난 것일 수 있었으리라. 역설적이게도
          종교는 현실을 초월하고자 하는 것임에도 현실과 유리되면 모두 멸하였
          다. 여기에 종교의 비밀이 있는 것인지는 모르지만 말이다.

           『화엄경』은 일찍이 자장 율사에 의하여 신라에 전파되었지만, 통일신라



          132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