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7 - 고경 - 2021년 3월호 Vol. 95
P. 147
는 청정한 마음과 같이 깨끗해지지 않는가?’라고 반문하고 있다. 둘째는 객
진번뇌가 청정한 마음과 상응하여 청정해지지 않는다면 객진번뇌 때문이라
는 것이다. 그러므로 심성은 본래 청정한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또한 『대비바사론』 권27은 분별론자의 심성본정설을 다음과 같이 비판하
고 있다.
“또한 이 본성이 청정한 마음은 객진번뇌보다 먼저 생긴 것인가 같
은 때에 생긴 것인가? 만일 먼저 생겼다면 마음은 생긴 뒤에 머물러
서 번뇌를 기다려야 한다. 만일 그렇다면 두 찰나[二刹那]를 지나며 머
물러야 하므로 종宗을 어긴다는 허물이 있다. 만일 같은 때에 생겼다
하면 어떻게 마음의 본성이 본래 청정하다고 말할 수 있겠는가? 그
대의 종은 미래의 마음은 본래 청정하다고 말할 수 있다고 하지 않
는다. 이와 같은 다른 종의 바르지 못한 집착을 중지시키고 자기 종
의 올바른 도리를 드러내기 위해 이것을 논하는 것이다.” (T 27, p.140c)
위 인용문은 설일체유부에서 대중부와 분별론자들이 주장하는 ‘심성본정
설’이 허구임을 논증한 것이다. 즉 설일체유부에서는 ‘본성정심本性淨心이 객
진번뇌보다 먼저 생긴 것인가? 아니면 동시에 생긴 것인가?’라고 묻고, 분별
론자의 주장이 잘못된 것임을 논증하고 있다. 첫째는 본성정심이 객진번뇌
보다 먼저 생겼다고 한다면 뒤따라오는 번뇌를 기다려야 한다. 그러면 마음
이 두 찰나[二刹那] 동안 머물러야 한다는 모순이 생기게 된다. 둘째는 본성정
심이 객진번뇌와 동시에 생겼다고 한다면 마음의 본성이 본래부터 청정하다
고 할 수 없다. 따라서 설일체유부에서는 처음부터 끝까지 ‘심성본정설’을 거
부하고, ‘심성비본청정설心性非本淸淨說’을 주장했다.
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