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0 - 고경 - 2021년 3월호 Vol. 95
P. 150
하였다.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불교 청년단체를 대표하여 독립운동
자금 조달 등을 위해 중국 상하이 임시정부를 방문하고 귀국하였다. 그는
다시 출가 사찰인 영원사로 돌아왔고 다음 해인 1920년에는 함양 법화사
의 주지가 되었다. 그런데 당시 문명개화와 불교 근대화라는 시대 조류의
확산 속에서 일본불교의 전철을 밟아 승려들이 결혼하는 풍조가 늘고 있
었다. 그리고 이는 일본 유학승이나 혁신운동을 하던 청년 승려들에게만
국한된 현상은 아니었다. 이러한 시대변화의 흐름 속에서 그 또한 중대한
선택을 해야 했는데 결국 40세가 되던 1923년에 대처승이 되었다.
1928년에는 중앙학림에서 이름을 바꾼 불교전수학교에서 가르치게 되
었는데, 이곳은 이능화, 박한영 등 당시 최고의 불교학자와 학승들이 교수
진을 구성하고 있었다. 1930년에는 전수학교에서 다시 중앙불교전문학교
로 개편되었고, 그는 1931년 5월부터 1932년 10월까지 이 학교의 교장을
역임하였다. 이후 중앙불전은 1940년 6월 혜화전문학교로 교명을 또 다시
개칭하였는데, 당시 유일한 대학이었던 경성제대의 교수를 퇴임한 다카하
시 도루가 이때 혜화전문의 학장이 되었다. 그런데 학장으로 취임한 다카
하시가 박한영, 권상로 등 한국인 교수들을 파면시키자 김영수도 교수직
을 그만두고 순천 선암사로 가서 주지를 하였다.
1945년 8월15일 감격의 해방을 맞이한 후 1946년에 혜화전문이 동국대
학으로 승격 재편되었다. 그는 다시 교수로 취임하여 불교사 등을 강의했
고, 1948년 12월부터 1950년 4월까지 동국대의 학장(지금의 총장)을 맡았다.
그런데 학장을 그만둔 지 두 달 만인 1950년 6월25일에 전쟁이 일어나 피
난하여 낙향하였다. 이를 계기로 1952년에는 전북대, 1953년에 원광대의
교수가 되어 이후 호남에서 후학을 양성하였다. 1957년에는 원광대에 한
국불교문제연구소를 설립하여 소장을 맡았고, 1961년에는 전북대에서 명
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