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5 - 고경 - 2021년 3월호 Vol. 95
P. 85
다. 대승이 주류로 떠오른 뒤엔 공문이 주도적 위치를 차지했다. 곤륵문은
아비달마문이 성행하기 이전 단계에 어느 정도 성행했던 방식이었다. ‘아비
달마문’의 해석방식이 실재론적인 ‘유有’로 달렸다면, 공문은 주로 ‘공空’으
로 나아갔고, 곤륵문은 유有와 무無의 두 극단으로 향했다고 평가된다. 6)
아비달마 논사들은 왜 정교하고 장대한 체계를 구축했을까? 5위75법으
로 일체 존재의 생성과 변화 그리고 소멸을 설명하려 한 이유가 무엇일까?
붓다의 가르침은 세 가지 대전제가 있다. 첫째, 신과 같은 초월적 존재를
인정하지 않는다; 둘째, 신비성을 배제하고 현상과 현실을 법칙성에 따라
설명한다; 셋째, 번뇌를 스스로의 힘으로 제거해 해탈을 얻는다. 즉 세계
를 지배하는 법칙을 발견해 자력으로 해탈하는 것이 붓다 교설의 핵심이
다. 대승불교가 흥기한 뒤 세 가지 원칙은 조금씩 변하지만 적어도 부파불
교 주류 시기까지는 변함없는 전제였다.
이런 원칙을 견지하며 해탈을 증득하려면 먼저 자기를 둘러싼 존재의 현
상과 실상을 정확하게 파악할 필요가 있다. 외적인 물리적 현상은 인식기
관을 통해 마음[心]과 마음부수[心所]로 연결된다. 물리적 현상, 인식기관,
마음은 ‘연결된 하나’이며, 셋이 일체화된 세계가 시간과 함께 흘러간다는
것이 아비달마 논사들의 기본적인 입장이었다. 그래서 그들은 5위75법, 98
번뇌설[견소단見所斷의 번뇌(88)와 수소단修所斷의 번뇌(10)] 등 정연하고 조직적인
체계를 구축했다. 붓다의 말씀에 입각해 세계를 이해하고, 스스로의 노력
으로 번뇌를 제거해 ‘영원한 자유[解脫]’를 성취하자는 아비달마 논사들의
‘간절함’이 정교하고 장대한 체계를 만든 근본적인 원인이었다고 생각된다.
승원에 안주하는 출가자들만의 해탈을 위해서가 아니고 ‘아비달마 체계’를
6) 呂澂著, 『印度佛學源流略講』, 上海: 上海人民出版社, 2005, p.70.
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