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0 - 고경 - 2021년 7월호 Vol. 99
P. 30

돈초10지頓超十地한 구경각인  원              함 없이 몰록 깨달아 일시에 10지의
          증圓證을  말한다. 그런데 10신초인            경지를 뛰어넘어 궁극의 경지를 체
          해오解悟로 견성이라 함은 불조의 언             득하는 것을 말한다. 그런데 10신초

          교言敎에 전연 위배된 독창적 신설新             인  ‘이해적  깨달음[解悟]’을  참다운

          說이다.  여하한  논설도  불조의  언          본성을 깨달은 것으로 간주함은 부
          교言敎에 배치되면, 불교인으로서는              처님과 조사들의 가르침에 위배되는
          단연히 이를 배제하지 않을 수 없다.            독창적인 새로운 주장이다. 여하한

                                          말이나 글도 부처님과 조사들의 가

                                          르침에 배치되면 불교인으로서는 단
                                          연히 이를 배제하지 않을 수 없다.



         【강설】 “성품 자리에 원래 번뇌가 없으며 번뇌 없는 지혜 성품이 본래 갖추

         어져 모든 부처님과 조금도 다르지 않음을 아는 것”을 규봉 스님은 돈오라
         했다. 그러나 견성이라고는 하지 않았다. 보조 스님의 가장 큰 과오는 규
         봉의 주장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대담하게도 이것을 견성이라 했다는 점

         이다. 번뇌 망상이 있더라도 자성은 본래 청정한 것이다. 예를 들면 거울

         에 먼지가 가득 앉아 있으면 밝은 빛이 드러나진 않지만 거울의 밝은 성품
         은 조금도 손상되지 않는다. 해오解悟는 먼지가 가득 앉았지만 거울 자체
         의 밝은 성품만은 차이가 없다는 것을 알았다는 것이다. 허나 이를 견성이

         라 할 수는 없다. 선문에서는 먼지를 완전히 닦아내 거울의 밝은 빛이 삼

         라만상을 자유자재로 두루 비추는 것을 두고 견성이라 했다. 그러니 해오
         의 견성이야 닦음이 필요하겠지만 선문의 견성, 즉 증오는 다시 닦음이 필
         요치 않다.






          28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