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2 - 고경 - 2021년 7월호 Vol. 99
P. 32

寂하야 與佛無殊나 而此舊習을 卒               여 그릇된 생각이 일어나지 않는 경
          難頓除故로 逢順逆境하면 瞋喜是                지에 도달해야 비로소 ‘궁극의 경지
          非가 熾然起滅하며 客塵煩惱가 與               [究竟]’이다. 훌륭한 스승들의 수행

          前無殊하나니  若不以般若로  加工              은 이와 같다. (『수심결』)

          著力하면  焉能對治無明하야  得大
          休歇之地리오  如云頓悟雖同佛이
          나 多生習氣深이라 風靜하야도 波

          尙湧이요  理現하야도  心猶侵이라

          하니 故로 悟後에 長須照察하야 妄
          念이 忽起어든 都不隨之하고 損之
          又損하야  以至於無爲하야사  方始

          究竟이니 天下善知識의 悟後牧牛

          行이 是也라. (①『修心訣』, 『大正藏』48,
          p.1007bc)



          【평석】 해오解悟는 추중망상麤重妄              ✽ ‘이해적 깨달음’은 거칠고 거친 잘

          想을 벗어나지 못한 허환망경虛幻妄              못된 생각조차 벗어버리지 못한 ‘허
          境이므로,  객진번뇌가  전일前日과             망하고 환상 같은 그릇된 대상[虛幻
          같이 치연히 기멸起滅하는 것은 사              妄境]’이므로, 객진번뇌가 예전처럼

          실이다. 따라서 이 번뇌 망상을 제             불 타오르듯이 일어났다 사라진다

          거하는 것이 오후悟後의 점수다. 선             는 점은 사실이다. 따라서 이 번뇌
          문에서는 추중망상麤重妄想은 말할               망상을 제거하는 것이 ‘깨달음 이

          것도 없고, 제8의 미세까지 영단永             후 닦는 것[悟後漸修]’이다. 선문에서
          斷한  구경무심의  대휴헐처大休歇              는 거칠고 거친 잘못된 생각은 말



          30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