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4 - 고경 - 2021년 9월호 Vol. 101
P. 84

사람이 부끄러움을 모르면 자연히 제 멋대로 행동하게 되고, 결과적으
          로 무도한 사람이 되고 만다. 제멋대로 행동하는 것은 처음에는 자유로 느
          껴지겠지만 자신을 둘러싼 타인의 불편한 시선들이 쌓여 가면 오히려 마음

          의 굴레가 되는 법이다. 이처럼 부끄러워할 줄 아는 것은 사람됨의 중요한

          요소이므로 맹자도 “우러러 하늘에 부끄럽지 않고, 굽어보아 사람들에게 부
          끄럽지 않은 것[仰不愧於天, 俯不怍於人]”을 군자삼락 중의 하나로 꼽았다.
           맹자는 부끄러워해야할 대상에 대해 하늘과 사람이라는 두 가지를 들고

          있다. 하늘에 부끄럽지 않음이란 해석하기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하지만

          필자가 보기에 이는 양심의 문제로 볼 수 있음으로 결국 자기 자신에게 부
          끄럽지 않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 사람들에게 부끄럽지 않음이란 사람들 눈
          에 어긋남 없이 행동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인륜과 도덕에 위배되지 않는 것

          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흥미로운 것은 『열반경』에서도 맹자와 같이 두 가지

          부끄러움에 대해 설하고 있다. 즉 하늘을 향해 부끄러움을 아는 ‘괴愧’와 사
          람들에게 부끄러움을 아는 ‘참慙’이 그것이다. 『열반경』에 따르면 “참이란
          안으로 스스로 부끄러워하는 것이고[慙者內自羞恥], 괴란 사람들에게 부끄

          러운 일을 드러내는 것이다[愧者發露向人]. 참은 사람에게 부끄러워하는 것

          이고[慙者羞人], 괴는 하늘에 부끄러워하는 것이다[愧者羞天].”고 했다.
           맹자의 말씀처럼 부끄러워할 줄 아는 마음을 불교에서는 ‘참괴심慙愧心’
          이라고 했다. 일반적으로 참慚과 괴愧를 한데 묶어 ‘부끄러워함’이라는 뜻

          에서 ‘참괴慚愧’라고 한다. 경론에서도 무참無慚과 무괴無愧에 대해 자신이

          범한 잘못에 대해 ‘부끄럽게 여기지 않음[不恥]’이라고 설명하고 있기 때문
          에 참괴를 부끄러워함으로 해석하는 것도 틀린 것은 아니다.
           하늘을 우러러 부끄러움을 알고, 사람들 앞에 부끄러움을 알아야 한다는

          것은 같지만 『열반경』에서는 ‘사람들에게 부끄러운 일을 드러냄’에 대한 내용



          82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