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3 - 고경 - 2021년 10월호 Vol. 102
P. 133

말[馬]을 이루는 오온으로 바뀐 것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붓다의 윤회론이
             간직한 진의眞意는 실로 여기에 있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육도도 삼계와 마찬가지로 ‘번뇌 때문에 괴로운 생

             존을 끝없이 되풀이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즉 한 생애 동안에도 수없

             이 육도를 드나들고 있는 것이다. 옛 사람들이 “하루 낮 하루 밤 사이에도
             수만 번 죽었다 태어난다[一日一夜 萬死萬生].”라고 한 것은 바로 이러한 상태
             를 표현한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생사윤회를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초기경전에서는 지

             옥·축생·아귀·인간·천상으로 윤회한다고 말한다. 그러나 초기경전에서
             는 윤회한다는 사실보다는 어떻게 하면 윤회에서 벗어난 경지, 또는 윤회
             에서 벗어나는 방법에 중점을 두고 있다. 「로히땃사-숫따Rohitassa-sutta」

             (SN2:26)에서 붓다는 “이 세상도 저 세상도 바라지 않는다.”(SN.Ⅰ.63)라고 했

             다. 이 대목은 윤회에 대한 붓다의 본회本懷를 드러낸 것으로 보인다. 왜냐
             하면 윤회의 종식이 불교의 궁극적 목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불교에서
             윤회를 강조하는 것은 금생에서 윤회를 종식시키기 위함이다.



















                                                           이경미 작作.





                                                                         131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