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8 - 고경 - 2021년 10월호 Vol. 102
P. 128
『 』 제102호 | 법수法數 10 | 힌두교의 윤회와 불교의 윤회는 그
무아와 윤회 ②
의미가 다르다. 일반적으로 힌두교의
윤회를 나타낼 때에는 transmigration
(이주移住)이나 reincarnation(환생還生)
‘힌두교의 윤회’와 으로 번역한다. 이 말은 윤회의 주체
‘불교의 윤회’는 로서의 영혼이 한 세계에서 다른 세
어떻게 다른가 계로 옮겨가며 사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불교의 윤회를 나타낼 때에는
rebirth(재생再生)로 번역한다. 왜냐하
마성 스님 팔리문헌연구소 소장
면 불교에서는 윤회의 주체를 인정하
지 않고 심상속心相續(citta-santāna)
이론으로 윤회를 설명하기 때문이다.
윤회의 의미
붓다 생존 시 윤회사상은 갠지
스 지역에 널리 유포되어 있었다.
당시 육사외도六師外道 중에서도
마성 스님 스리랑카 팔리불교대학교 자이나교의 개조開祖 니간타 나따뿟
에서 학사와 철학석사 학위를 취득했으 따Nigaṇṭha Nātaputta, 막칼리 고살
며,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에서 ‘삼법인
설의 기원과 전개’라는 논문으로 철학박 라Makkhali Gosāla, 뿌라나 깟사빠
사학위를 취득했다. 동국대학교 불교문
화대학원 겸임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 Pūraṇa Kassapa 등은 윤회사상을 알
팔리문헌연구소 소장으로 재직 중이다. 고 있었다. 특히 니간타 나따뿟따는
『사캬무니 붓다』, 『잡아함경 강의』 등 다
수의 논저가 있다. 업과 윤회를 자신의 중심 교의로 삼
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