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0 - 고경 - 2021년 11월호 Vol. 103
P. 120
르침과 수행이 어떠했으며, 승려들이 어떤 모습으로 살았을까 하는 점이
다. 찬란했던 신라가 중대 이후로 오면서 그간 권력을 쥐고 호의호식하던
무리들은 오랜 세월 왕위쟁탈전으로 날을 지새웠고, 하대에 와서는 농민
들이 곳곳에서 못 살겠다며 난을 일으켜 자기 살 길을 찾아 나서는 지경
에 이르렀으며, 지방의 호족들도 들고 일어나는 등 혼란의 시기로 빠져들
었다. 선종이 확산되어 가던 시절의 사바세계娑婆世界 풍경이다.
힘없는 백성들에게는 이 세상이 극락정토라는 것은 더 이상 믿지 못할
거짓으로 드러났고, 이제는 파리목숨 같은 이 삶이 죽어서나마 극락왕생
을 했으면 하는 가느다란 희망만이 살아 있을 뿐이었다. 그래서 그들은 또
도피처를 찾아 나서게 되었다. 아미타불阿彌陀佛을 지극정성으로 외우면
죽어서 극락왕생한다는 내세신앙에 희망을 걸어보기도 하고, ‘불쌍한 민초
들을 구해 줄 미륵불彌勒佛이 와서 우리를 구해 줄지도 모른다’는, 불교의
원래 철학과는 거리가 먼 ‘믿음’이 불교인양 나타나게 되었다. 기독교도 그
본래의 모습에서 벗어나면 메시아주의(Messiahism)에 빠지는 것처럼 이와
유사한 양상이 벌어진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어쩌면 이런 지점이
진리와는 거리가 먼 ‘종교’라는 것의 본질인지도 모르겠지만, 만일 그렇다
면 이는 너무나 황당한 것이리라.
신라 하대에도 사람 사는 세상이 이런 불안한 시대로 빠져들자 결국 풍
수지리설風水地理說이 불교나 도교 등의 교설과 합쳐져 기승을 부리고 아
예 인간의 미래를 예언한다는 도참설圖讖說까지 날뛰게 되었다. 궁예弓裔
(857?-918)가 반란을 일으키며 자신이 미륵불이라고 하고 도참을 들고 나
와 세상을 현혹한 것도 이러한 상황에서 벌어진 일이다. 이런 인간의 문제
앞에서 불교는 과연 무엇을 할 수 있었을까?
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