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1 - 고경 - 2021년 11월호 Vol. 103
P. 131
제를 보면 불교사 전체를 망라한 것으로 보이지만, 어쩐 일인지 현존본은
본문 앞부분의 「석가본행기」만 수록되어 있다. 다만 서론에 해당하는 「통
론」에서 인도와 중국, 한국과 일본 불교사를 간략히 소개하고 있어 책의
대략의 성격을 알 수 있다. 즉 석가의 행적부터 아소카왕 때의 불교 확산,
대승불교의 성립과 중관 및 유식 학파, 불교의 중국 전래와 불전의 한역,
당과 송대 이후 불교사, 고려본을 비롯한 불서의 동아시아 유통, 선학 및
이학의 병행 등을 다루었다.
이어 한국의 불교 수용과 선종의 9산선문 성립, 구법승의 활동 등을 개
관하였고, 일본불교는 고대의 남도 6종과 가마쿠라 이후의 종파불교 문제
등을 서술했다. 나아가 중국과 한국불교 외에 남부의 소승불교, 티베트와
몽고 등 북부의 라마 불교와 밀교, 대·소승과 현·밀교를 갖춘 일본의 동
부불교로 나누었다. 이는 일본학계의 불교 연구 성과를 적극적으로 활용
한 결과 일본 우위의 시각까지 그대로 받아들인 것이었다.
한편 『인명입정리론회석』은 송광사 지방학림의 등사본(1920) 등이 전하
는데, 등사본의 앞에는 <고인명·신인명·형식논리를 비교한 표>를 비롯해
도표로 인명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고 인명과 서양 논리학을 비교해 놓았
다. 본문은 주로 상갈라주商羯羅主의 『인명입정리론』, 그리고 중국 명대 명
욱明昱의 『인명입정리론직소』에 근거하여 주석했다. 박한영의 해설은 보충
해석, 추가 주석의 형식으로 붙여 놓았다. 이 밖에도 명대 지욱智旭의 『인
명입정리론직해』와 진계眞界의 『인명입정리론해』를 인용하고 있다. 그렇기
에 여러 주석을 모아 해석한다는 뜻의 회석을 책의 제목으로 한 것이다.
여기서 유식 및 인명까지 섭렵한 그의 수준 높은 불교 이해를 볼 수 있다.
또 중국 청말의 사상가 탄쓰퉁(譚嗣同)의 『인학仁學』을 옮긴 「인학절본」도
눈길을 끈다. 《조선불교월보》에 8회에 걸쳐 번역하여 실은 이 글은 소통과
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