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3 - 고경 - 2021년 12월호 Vol. 104
P. 113
운 개혁안을 범유학汎儒學의 입장에서 발견하고자 했다. 이들 실학자들은
비록 현실개혁안을 정부당국에 제시하여 이를 관철시키고 사회의 여론으
로 만들어 확대 재생산하는 데는 실패했지만, 조선 성리학의 후진적 이념
을 극복하고 전통적 왕도정치의 이념 구현과 실사구시를 지향하고자 했
다. 결국 도가철학이나 양명학, 실학사상은 당시 사회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못한 채 체제 유지와 사회 통제의 역할만을 담당했던 성리학의
한계를 비판하면서 형성되어 다양한 사회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사상적
사회제도적 대안을 제시했다. 이러한 탄력적인 당시 사상계의 동향은 불
교에서도 엿볼 수 있다.
이경미 작作.
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