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0 - 고경 - 2021년 12월호 Vol. 104
P. 90

온 것일까요?
                                               임제나  운문은  스스로의  사
                                             색을 통해 그렇게 단호하게 말

                                             할 수 있었습니다. 사색을 통하

                                             여 얻은 지식만이 진정한 지식
                                             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임제나
          사진 4.  수도암 화장실의 안과 밖.
                                             운문이 하는 말에는 활기가 넘
          칩니다. 우리가 진정 스스로 사색하는 자가 되고 싶다면 그 소재를 현실에

          서 찾아야 합니다. 이렇게 비근卑近한 데서 도를 구하는 것이야말로 불도
          에 내면의 깊이를 더해 주고 범부에게는 세상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 하
          나를 더해 줍니다.

            임제나 운문처럼 비근한 데서 도를 구하는 정신은 중국 정신사의 오랜

          전통 가운데 하나입니다. 기원전 4세기에 이미 장자(B.C. 369?-B.C.286?)가
          큰 도리는 똥오줌에도 있다고 단언했습니다(사진 4).
           장자는 도가 어디에 있느냐는 동곽자의 질문에 이렇게 말했습니다.




              “도는 있지 않는 곳이 없다. 땅강아지와 개미에게도 도는 있다. 강
              아지풀과 논에서 자라는 피에도 있고, 기왓장과 벽돌에도 있다. 나
              아가 도는 똥오줌 속에도 있다.”        4)




           도가 땅강아지나 개미는 물론 강아지풀과 피에도 있고 심지어 기왓장이



          4)  『장자莊子』, 외편外篇·지북유知北游, 東郭子問於莊子曰: “所謂道, 惡乎在?” 莊子曰: “無所不在.” 東郭子
           曰: “期而後可.” 莊子曰: “在螻蟻.” 曰: “何其下邪?” 曰: “在稊稗.” 曰: “何其愈下邪?” 曰: “在瓦甓.”
           曰: “何其愈甚邪?” 曰: “在屎溺.”


          88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