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5 - 고경 - 2022년 4월호 Vol. 108
P. 135

대둔사가 단순히 서산의 의발을
             전수받았고, 매년 제사를 지내기
             때문에 청허 문파의 종원임을 자

             부한다는 의미와 함께 대둔사가

             침체된 조선불교의 종원이자 중
             흥지의 위상 또한 지니고 있음을
             천명한 것이기도 하다.

               장유張維가 지은 청허의 비碑가

             대둔사에  세워지자  ‘종원의  동
             표銅標’라고 한 사실이나, “서산
             의  의발이  이곳(대둔사)에  있고,

             영정도 이곳에 있는 것이 확실

             하며,  기일忌日에  제사를  올리             사진 3. 대흥사 부도밭에 있는 서산대사 부도.
             는 것도 확실하며, 죽음에 이르러 부탁한 물품이 지금도 대둔사에 전해
             오니 8로路의 종원이 된다.”고 한 아암혜장의 언급에서도 그 의미를 파악

             할 수 있다.

               권3은 이 밖에 1788년(정조 12) 왕명으로 표충사表忠祠를 건립하게 된 경
             위와 사정을 파악할 수 있는 문건과 비문의 내용, 심지어 청허의 유물 목
             록까지 상세하게 고증한 후에 수록했다. 이 가운데 청허의 행적을 정리한

             「금자보장록金字寶藏錄」은 “청허의 친도親徒가 기록한 것이 아니고 뒷사람

             이 추가한 것”이어서 8가지의 오류를 지적하기도 했다. 결국 『대둔사지』 찬
             자들의 청허의 행적과 사후의 평가에 대한 정리는 조선후기 불교계에서 청
             허와 함께 대둔사의 위상을 선양하여 격상시키고자 한 그들의 의도가 강

             하게 반영되어 있음을 살필 수 있다.



                                                                         133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