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3 - 고경 - 2022년 6월호 Vol. 110
P. 143
불교사 서술의 명맥을 이은 금명
보정錦溟寶鼎이 주석하고 있었다.
보정은 『조계고승전』, 『불조록찬
송』 등을 저술하여 보조지눌의 유
풍과 송광사를 본산으로 하는 조
선후기 부휴계, 조계종의 역사적
정통성을 부각시켰다. 또한 1920
년에는 김잉석의 은사인 해은의
『조선불교사대강: 조선불교 종파
변천사론』이 등사되어 나왔다. 이
는 선종과 교종의 두 흐름으로 한
사진 1. 화엄학자 김잉석.
국불교사를 개관한 저술로 조선
후기 불교를 임제 선종과 화엄 교종으로 나누어 파악하는 것이다. 이처럼
김잉석은 송광사 수학 시절에 교학과 불교사에 대한 식견을 키우면서 학
문적 소양을 닦을 수 있었다.
이어서 그는 서울에 있는 근대적 불교 교육기관인 중앙학림을 다니다
가 1928년 일본 도쿄에 소재한 조동종 종립대학 고마자와대학 예과에 입
학하였고, 정토진종 본원사파에서 세운 교토의 류코쿠대학 문학부를
1931년에 졸업했다. 김잉석은 일본 유학 당시 저명한 화엄학자였던 유스
키 료에이湯次了榮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유스키는 『화엄대계』, 『화엄오교
장강의』, 『화엄학개론』 등의 저작을 남기는 등 중국 화엄종의 3조 법장의
교학을 중심으로 근대 일본 화엄학 연구의 기반을 닦은 학자이다.
일본에서 귀국한 김잉석은 당시 조선불교 중앙교무원이 운영하던 보성
중학교에서 역사를 가르치다가 1934년에 중앙불교전문학교에서 교편을
141